이재명 68.5% 1위, 김영록 65.2% 2위, 이용섭 58.2% 3위...송철호 울산시장 36.1%로 연속 최하위 기록

– 광역시장별 톱3 : 1위 광주 이용섭(58.2%), 2위 대전 허태정(42.2%), 3위 세종 이춘희(41.2%)
– 도지사별 톱3 : 1위 경기 이재명(68.5%), 2위 전남 김영록(65.2%), 3위 경북 이철우(57.1%)
– 강원 최문순 5위에서 9위로 네 계단 하락...서울 박원순, 부산 오거돈 조사에서 제외

[한국지방정부신문=정양기 기자] 2020년 9월 광역지방정부 시도지사 평가 조사에서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4개월 연속 1위를 기록하며 유력 대권주자로서의 면모를 또다시 과시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가 7일 발표한 월간 정례 광역자치단체(15개 시도지사, 서울시장·부산시장 제외) 평가 조사 결과,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지지율(‘잘한다’ 긍정평가)이 68.5%로 지난달 보다 0.6%p 소폭 하락했으나 4개월 연속 1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김영록 전남지사는 1.7%p 하락한 65.2%로 2위를 유지했고, 1위와의 격차는 3.3%p(+1.1%p, 8월 2.2%p → 9월 3.3%p)로 전월 대비 소폭 벌어졌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1, 2위가 소폭 하락한 반면에 1.1%p 상승한 58.2%로 지난달에 이어 3위를 유지했다.

이어 경북 이철우 지사(+1.1%p, 57.1%)가 지난달과 동일한 4위, 전북 송하진 지사(+1.6%p, 52.2%)가 두 계단 오른 5위, 충북 이시종 지사(-0.7%p, 50.1%)가 지난달과 동일한 6위로 상위권을 기록했다.

다음으로 제주 원희룡 지사(+1.1%p, 49.0%)가 한 계단 오른 7위, 충남 양승조 지사(+1.0%p, 48.3%)가 한 계단 오른 8위, 강원 최문순 지사(-3.9%p, 47.7%)가 네 계단 내린 9위, 경남 김경수 지사(-0.3%p, 45.7%)가 지난달과 동일한 10위, 대전 허태정 시장(+3.3%p, 42.2%)이 한 계단 오른 11위, 세종 이춘희 시장(-3.3%p, 41.2%)이 한 계단 내린 12위로 중위권에 올랐다.

다음으로 대구 권영진 시장(+1.8%p, 40.3%)이 지난달과 동일한 13위, 인천 박남춘 시장(+2.3%p, 40.2%)이 지난달과 동일한 14위, 울산 송철호 시장(+1.0%p, 36.1%)이 지난달과 동일한 15위로 하위권으로 조사됐다.

광역시장별로 보면 광주 이용섭 시장(58.2%)이 1위, 대전 허태정 시장(42.2%)이 2위, 세종 이춘희 시장(41.2%)이 3위, 대구 권영진 시장(40.3%)이 4위, 인천 박남춘 시장(40.2%)이 5위, 울산 송철호 시장(36.1%)이 6위를 기록했다.

도지사별로는 경기 이재명 지사(68.5%)가 1위, 전남 김영록 지사(65.2%)가 2위, 경북 이철우 지사(57.1%)가 3위, 전북 송하진 지사(52.2%)가 4위, 충북 이시종 지사(50.1%)가 5위, 제주 원희룡 지사(49.0%)가 6위, 충남 양승조 지사(48.3%)가 7위, 강원 최문순 지사(47.7%)가 8위, 경남 김경수 지사(45.7%)가 9위로 나타났다.

한편, 전국 시·도단체장 모두 지난달에 비해 긍정평가 상승 폭이 4%p 이내로 크지 않았다. 강원 최문순 지사는 순위 기준으로 4계단 하락해 다른 시·도단체장 대비 순위 변동이 두드러졌다.

이번 9월 조사에서 15개 시도지사 전체의 평균 긍정평가(지지율)는 49.5%(+0.3%p, 8월 49.2%)로, 평균 부정평가는 37.9%(-0.4%p, 8월 38.3%)로 집계됐다.

이번 2020년 9월 월간정례 전국 광역지방정부 평가 조사는 유·무선 임의전화걸기 자동응답 방식으로, 지난 9월 21일부터 9월 27일까지 7일 동안 전국 18세 이상 광역시도 주민 8,500명(시도별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고, 통계분석은 2개월 이동(rolling) 시계열 자료분석 기법에 따라 17,000명을 대상으로 했다. 통계보정은 2020년 7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지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했다. 광역 시도별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 응답률은 4.7%이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한국지방정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