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개 시군 81개 읍면동서 민관협력체 중심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맞춤형 안전망 구축

전라남도(도지사 김영록)가 복지·안전서비스 사업에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는 스마트화 사업이 전국에서 가장 많이 추진되고 있다. 고독사 스마트 돌봄 활동(사진=조용원 기자/전남도청)

[한국지방정부신문=조용원 기자] 고령화율 27.2%로 전국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전라남도(도지사 김영록)가 복지·안전서비스 사업에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는 스마트화 사업이 전국에서 가장 많이 추진되고 있어서 관심을 끌고 있다.

행정안전부가 지원하는 ‘2025년 읍면동 스마트 복지·안전 서비스 개선모델 개발 지원사업’에서 전남 9개 시군 81개 읍면동이 참여하며, 총사업비 4억 원(국비 2억 원 포함)이 투입된다.

전남도는 지역 여건에 따라 두 가지 유형의 모델을 도입할 계획이다.

나주시는 도농복합형 모델을 선택해 복지, 보건, 교육, 문화, 일자리 등 다양한 복지 자원을 통합한 ‘나주형 복지자원 공유 플랫폼’을 구축해 주민 누구나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반면, 8개 시군은 안전취약계층 중심형 모델로 고령자 및 취약계층의 안전을 위한 맞춤형 ICT 서비스를 전개한다.

각 시군에서는 특색 있는 안전 및 복지 서비스를 선보인다.

영광군은 누전차단 기능이 포함된 멀티탭을 보급해 화재 예방에 앞장서고, 보성군은 장애물 감지기와 전등이 장착된 스마트 지팡이를 지원해 보행 약자의 안전한 이동을 도모한다. 무안군, 해남군, 장흥군은 야간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해 실내 리모컨형 LED 전등과 외부 태양광 LED 정원을 설치하며, 곡성군은 구글 지도 기반의 스마트 안전지도를 개발해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한다.

재선정된 강진군과 영암군은 각각 AI 기반 1인 가구 통합관제 시스템과 ‘돌봄 플러그’를 도입해 ICT를 활용한 비대면 안전 돌봄체계를 강화하는 등, 민관 협력을 통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남도는 참여 시군과 읍면동 안전협의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등 민관협력체와 함께 활동 결과를 공유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지역 맞춤형 안전서비스 기능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지난 3월 장흥군, 강진군, 해남군이 선정된 ‘안부살핌 우편서비스 사업’을 통해 위기가구를 대상으로 정기적인 방문 안부 확인 서비스를 추진하는 등, ICT 기반 스마트 복지 서비스 확산에 적극 나서고 있다.

김승희 전남도 사회복지과장은 “이번 공모사업 최다 선정된 것을 계기로 ICT 기반 스마트 복지 서비스 확산을 통해 지역 안전망을 한층 강화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더 촘촘한 민관협력으로 모든 도민이 안심하고 행복한 복지 전남을 실현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지방정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