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월 1일부터 전면 시행…심리적·사회적 단절을 해소, 섬 고령층 이동권 보장과 지역 활력 기대
- 신우철 완도군수 “고령화 사회 지역 공동체의 접근성과 활력 높이는 전략적 선택...지방소멸 막기 위해 심리적·사회적 단절 해소하는 교통복지 중요”
[한국지방정부신문=조용원 기자] 전국 최초의 해양치유센터, 전국 최대 전복 생산지, 전국 최대 해조류 메카로 잘 알려진 전남 완도군(군수 신우철)이 해상교통 복지의 선도 지방정부로 떠오르고 있다.
완도군은 오는 5월 1일부터 전국 최초로 '65세 이상 여객선 무료 운임 지원 정책'을 전면 시행한다. 이는 단순한 요금 감면을 넘어, 고령화와 섬 지역 특수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통 복지 모델로 평가된다.
완도는 유인도 54개, 무인도 210여 개로 구성된 전형적인 다도해 지역으로, 주민 다수가 여객선을 일상 교통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특히 고령화율이 전국 평균을 상회하는 상황에서, 교통 수단은 단순한 이동수단이 아닌 삶의 질과 직결된 복지 인프라로 작용하고 있다.
이번 정책은 완도군에 주소를 둔 만 65세 이상 주민을 대상으로 하며, 여객선 탑승 시 신분증만 제시하면 자동으로 무료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군은 이를 통해 도서지역 어르신들의 해상 이동 편의를 크게 높이고, 그동안 비용 부담으로 제한됐던 육지 방문, 병원 진료, 가족 왕래, 문화활동 등을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우철 완도군수는 “이번 사업은 단순한 비용 지원이 아니라, 고령화 사회를 살아가는 지역 공동체의 접근성과 활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라며, “지방 소멸을 막기 위해서는 물리적 연결을 넘어 심리적·사회적 단절을 해소하는 교통복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완도군은 이미 △전 군민 무료 버스 운영, △도서민 1,000원 여객선 요금제, △야간 여객선 운항 확대 등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통복지 정책을 이어오고 있다.
이번 ‘65세 이상 여객선 무료화’까지 더해지면서 육상과 해상을 아우르는 입체적 교통 복지 체계가 완성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평가다.
완도군의 이번 시도가 타 지방정부에도 하나의 롤모델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특히 섬 지역이나 고령화가 심화된 농어촌 지역에서 주민 체감형 교통 정책이 지역 정주율과 공동체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가 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