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시 RISE 위원회, 수행대학 13곳, 5대 프로젝트·12개 단위과제 확정

- 산학연 시너지 극대화, '지역 균형 발전 모델 확산' 기대

지역 주도 교육을 혁신할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이 대전시(시장 이장우)의 정책 실험을 넘어, 전국 지방정부의 고등교육 혁신과 지역 균형 발전의 새로운 모델로 자리매김할지 주목된다. (사진=김지수 기자/대전시청)
지역 주도 교육을 혁신할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이 대전시(시장 이장우)의 정책 실험을 넘어, 전국 지방정부의 고등교육 혁신과 지역 균형 발전의 새로운 모델로 자리매김할지 주목된다. (사진=김지수 기자/대전시청)

[한국지방정부신문=김지수 기자]  지역 주도 교육을 혁신할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이 대전광역시(시장 이장우)의 정책 실험을 넘어, 전국 지방정부의 고등교육 혁신과 지역 균형 발전의 새로운 모델로 자리매김할지 주목된다.

25일 이장우 대전광역시장과 김정겸 충남대 총장이 공동위원장을 맡은 ‘대전시 RISE 위원회’에서 수행대학 13곳과 5대 프로젝트·12개 단위과제가 확정됐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올해 초 교육부의 RISE 계획 평가를 통해 124억 원의 국비를 추가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라며, “앞으로도 지방정부와 대학, 산업계, 연구기관이 수평적으로 협력해 교육혁신과 지역 활력 창출, 그리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함께 이뤄가겠다”라고 강조했다.

대전시 RISE 위원회, 13개교 선정 · 655억 원 배정...'5대 핵심 프로젝트' 수행

건양대 메디컬캠퍼스·국립한밭대·충남대·한남대 등 주요 거점대학을 비롯해 대덕대·대전보건대·을지대 등 지역 대학이 고르게 포함됐으며, 총 655억 원의 예산을 학사구조 개편, 창업·취업 지원, 산학연 연구 협력, 평생교육 프로­­그램, 지역현안 해결 등에 투입한다.

선정된 대학 총 13개교는 건양대학교(메디컬 캠퍼스), 국립한밭대학교, 대덕대학교, 대전과학기술대학교, 대전대학교, 대전보건대학교, 목원대학교, 배재대학교, 우송대학교, 우송정보대학, 을지대학교, 충남대학교, 한남대학교 등이다.

이들 대학은 출연연, 지역혁신기관, 지역기업, 한국폴리텍Ⅳ대학 등 다양한 기관 및 타 대학과 협력해 고등교육 혁신과 지역 상생을 위한 5대 핵심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된다.

첫 번째 프로젝트인 ‘지역선도형 대학교육 특성화’는 전략산업과 미래 유망분야, 그리고 특화산업과 수요발굴 분야의 인재를 양성해 대전의 미래를 이끌 360도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충남대학교를 비롯한 13개교에 154억여 원(총사업비 24%)이 투입되며, 학사 구조 개편과 산학연 연계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등을 통해 대학 경쟁력을 강화한다.

두 번째 프로젝트인 ‘지역정주형 취·창업 활성화’는 지역 내 취업과 창업을 활성화하고 정주율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둔다. 대전대학교 등 12개교가 수행하며, 192억 원(총사업비 30%)의 예산이 투입된다. 주요 사업은 지역기업 참여형 진로탐색 지원, 지역산업과 연계한 창업교육, 기술창업 및 로컬창업 육성 등이다.

25일 이장우 대전광역시장과 김정겸 충남대 총장이 공동위원장을 맡은 ‘대전시 RISE 위원회’에서 수행대학 13곳과 5대 프로젝트·12개 단위과제가 확정됐다. (사진=김지수 기자/대전시청)

세 번째 프로젝트인 ‘지속발전형 지산학연 협력 고도화’는 지역의 생산성 제고를 목표로, 국립한밭대학교 등 13개교에 177억여 원(총사업비 27%)이 배정된다. 출연연과 연계한 연구인재 양성, 기술사업화, 대학 간 공동교육체계 운영, 대학 보유 인프라 활용 산학협력 등이 핵심이다.

특히, 충남대, 국립한밭대, 한남대 등 6개 대학은 대전시 RISE 대표과제인‘출연연 연구협력’과제를 수행하며, 인재양성부터 연구개발, 사업화까지 연계되는 지역혁신모델 구축에 나선다.

네 번째 프로젝트인 ‘생애성장형 직업·평생교육 강화’는 기술 발전과 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평생교육 시스템 확립을 목적으로 한다. 배재대학교 등 9개교에 51억 원(총사업비 8%)이 투입되며, 재직자 및 재취업자 대상 직무역량 강화 프로그램과 시민을 위한 평생교육 과정이 운영된다.

다섯 번째 프로젝트인 ‘RISE 촉진형 지역현안 해결 및 꿀잼도시 조성’은 대전의 글로벌 역량 강화와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주민 참여형 과제를 중심으로 한다. 우송대학교 등 12개교가 참여하며, 69억 원(총사업비 11%)의 예산이 지원된다. 주요 사업으로는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정주 지원,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리빙랩 운영, 문화예술 콘텐츠 개발 및 축제 추진 등이 포함된다.

대덕연구개발특구 연계, 산학연 시너지 극대화...'지역 균형 발전 모델 확산' 기대

대전은 전국 최대 규모의 과학기술 연구개발특구인 대덕특구를 배경으로 삼고 있다. 2022년 기준 특구에는 정부출연연구기관 27개, 국공립연 4개를 포함해 총 2,454개 기관이 입주해 있으며, 91,886명의 연구인력이 활동 중이다.

RISE 사업의 ‘지산학연 협력 고도화’ 프로젝트(177억 원)에서는 충남대·한밭대 등 6개교가 출연연과 공동으로 연구 인재를 양성하고, 기술사업화·공동교육체계 운영을 통해 지역 혁신모델을 실험한다.

대전시는 RISE 사업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교육혁신지수(D1)’, ‘협력지수(D2)’, ‘지역활력지수(D3)’ 등 3대 지표를 도입했다.

2029년까지 이들 성과를 통합한 ‘대전 RISE 생태계지수(D-Triple)’를 구축, 지방정부·산업계·대학·연구기관 간 선순환 구조를 조기 확립할 예정이다. 이러한 지표 중심의 관리 체계는 타 지방정부에도 모범 사례로 평가될 전망이다.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는 2023~2024년 시범운영을 거쳐 2025년부터 전국 17개 시·도에서 본격 도입된 정부 핵심 고등교육 정책이다.

RISE는 약 2조원을 투입해 대학 재정지원 권한을 지방정부에 확대·이관, 지역 전략산업에 특화된 맞춤형 인재 양성과 산학연 협력을 촉진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를 통해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고, 지역과 대학이 함께 지속 가능한 동반 성장을 모색한다는 구상이다.

 

저작권자 © 한국지방정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