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 누리집 하단 ‘쉬운 우리말 사전’ 배너 설치...시민의 바른 언어 사용 도와
- 국어정책 및 공공언어 사용과 관련한 공동연수회 개최, 내부 직원 대상 공공언어 개선 교육 등 다양한 국어문화 진흥 시책 추진
[한국지방정부신문=김지수 기자] 대구광역시가 자체 개발한 ‘행정용어 검사 자동화 도구’를 체계화해 정확하고 쉬운 공공 우리말 언어를 사용하는 데 힘쓴 결과,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한 ‘2024년 국어책임관 업무 우수사례 평가’에서 광역지방정부 부문 우수기관으로 처음 이름을 올렸다.
대구시는 시민의 바른 언어 사용을 돕기 위해 시 누리집 하단에 ‘쉬운 우리말 사전’ 배너를 설치해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그리고 국어정책 및 공공언어 사용과 관련한 공동연수회 개최, 내부 직원 대상 공공언어 개선 교육 등 다양한 국어문화 진흥 시책을 꾸준히 추진해 왔다.
'행정용어 검사 자동화 도구' 체계화...업무 효율·정확성 강화
특히, 시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행정문서 작성 지원을 위해 자체 개발한 ‘행정용어 검사 자동화 도구’를 전 직원이 현업에서 활용토록 체계화했다.
이 도구는 불필요한 외래어·전문 용어를 자동 검출하고, 쉬운 우리말 대체안을 제안해 공문서의 가독성을 높인다.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실태조사에서 고령자·장애인 등 디지털 취약계층의 웹 접근성 지수가 66.7점으로 전년 대비 0.9점 상승한 바 있어, 공공언어의 평이성 강화는 디지털 소통의 토대를 다지는 핵심 과제이기도 하다.
시민 체감형 정책, 소통 혁신 가속화...'정확하고 쉬운 공공언어 사용' 힘써
이러한 공공언어 개선 노력은 지방정부 보도자료를 표본으로 추출해 공공언어 사용 실태를 평가하는 지방정부 합동평가 지표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광역시 국어책임관으로서 공공언어 정책을 총괄하고 있는 최미경 대구광역시 문화예술정책과장은 “이번 수상은 시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자 공공언어 개선에 전념해 온 대구시의 노력이 인정받은 뜻깊은 결과이다”며, “앞으로도 정확하고 쉬운 공공언어 사용을 통해 아름다운 우리말을 가꾸고 보존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어책임관 제도는 2009년 국어기본법 개정으로 도입돼, 공공기관의 우리말 사용 적절성을 제고하기 위한 법적 장치다. 중앙·지방 전 부문에 국어책임관을 지정하고, 맞춤법·띄어쓰기·용어 선정을 감독하도록 해 왔다.
국립국어원 주최 회의에서도 “공공기관 문서의 영어 남용은 국민 소통권을 제약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 바 있으며, 제주도 등 일부 광역지방정부는 지역어 보존 조례까지 추진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