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장우 대전시장 “생명과학 연구와 지역 바이오산업 긴밀히 연결...성장하는 실질적 협력의 출발점 되길 기대”
- 2026년~2030년 매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정기학술대회 개최
[한국지방정부신문=김지수 기자] 내년부터 5년간, 국내 최대 생명과학 정기학술대회가 열리는 대전광역시(시장 이장우)가 명실상부한 글로벌 바이오허브로 자리매김하며, 연구성과의 현장 적용과 상용화가 동시에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장우 대전광역시장은 “대전의 바이오산업은 대덕연구개발특구의 R&D 인프라를 기반으로 산‧학‧연‧병이 연계된 국내 최고의 오픈이노베이션 생태계를 갖추고 있다”라며, “이번 협약이 생명과학 연구와 지역 바이오산업이 긴밀히 연결돼 함께 성장하는 실질적 협력의 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라고 강조했다.
MOU로 새바람, 2026년부터 연간 3,000명 집결
4월 28일, 대전시와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KSMCB)가 ‘바이오산업과 기초 생명과학 동반성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2026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매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정기학술대회가 대전에서 개최된다.
해당 학술대회에는 전 세계 석학과 기업 전문가를 포함해 연평균 3,000여 명이 참가하며, 대전시는 이 기간 중 회의장·전시·비즈니스 매칭 등 MICE(회의·포상관광·컨벤션·이벤트) 인프라를 총동원해 행사를 지원할 계획이다.
기초연구와 산업의 견고한 가교
KSMCB는 1989년 창립 이래 국내 최대 규모의 생명과학 학회로, 현재 회원 수가 19,000명을 넘어 곧 20,000명 시대를 앞두고 있다.
대전시는 이 학회의 방대한 연구 네트워크를 활용해 학술 성과를 지역 바이오기업과 연결하는 ‘오픈 이노베이션’ 플랫폼 구축에 주력한다.
알테오젠·리가켐바이오와 같은 대전 소재 바이오기업 60여 곳이 이미 글로벌 임상과 투자를 주도하고 있어, 학술대회 연계 기술 이전과 스타트업 발굴이 한층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연간 2,696억 원 파급 효과, MICE 경제허브 부상
대전지역 MICE 산업의 경제 파급효과는 2020년 약 2,442억 원에서 2025년 약 2,696억 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고용유발 효과 역시 2020년 772명에서 2025년 878명으로 늘어나 지역경제 활성화의 견인차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특히 이번 학술대회 유치는 컨벤션 센터·호텔·교통·요식업 등 관련 산업 전반의 수요를 창출해, 대전시의 MICE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릴 전망이다.
글로벌 바이오허브로의 진화 전략
대전시는 ‘국가첨단전략산업 바이오 특화단지’ 조성 프로젝트를 통해 4개 산업단지 891만㎡를 바이오 특화단지로 지정하고, 3조 2,687억 원 규모의 인프라·세제 지원을 추진 중이다.
여기에 22.3㎢ 규모의 대덕연구개발특구가 IT·나노·바이오를 아우르는 융복합 R&D 허브로 자리 잡고 있어, 이번 학술대회 연계 기술 시연·기업·투자자 간 파트너 매칭이 더욱 구조화된 생태계를 조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