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자인서울 광역 상생협력’ 사업 출범, 타 시도의 프로젝트 개발 초기 단계부터 실질적인 기술 지원 제공

- 서울시-다른 광역지방정부 함께 대형 디자인 프로젝트 공동 추진...‘광역지방정부 연합 공동개발’ 진행

올해 새로 출범한 ‘디자인서울 광역 상생협력’ 사업은, 단순한 벤치마킹을 넘어 서울시 전문 디자이너가 직접 참여하는 ‘디자인 자문단’을 구성해, 타 지방정부의 프로젝트 개발 초기 단계부터 실질적인 기술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자료=서울시청)
올해 새로 출범한 ‘디자인서울 광역 상생협력’ 사업은, 단순한 벤치마킹을 넘어 서울시 전문 디자이너가 직접 참여하는 ‘디자인 자문단’을 구성해, 타 지방정부의 프로젝트 개발 초기 단계부터 실질적인 기술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자료=서울시청)

[한국지방정부신문=김미숙 기자] 서울특별시(시장 오세훈)가 2010년 ‘세계디자인수도’ 지정 이후 축적해 온 도시경관·공공시설 디자인 노하우를 올해 전국 광역지방정부에 공식적으로 공유하고 있어, 빠르게 변화하는 도시 환경 속에서 ‘디자인’이 지역 간 상생협력의 핵심 동력이 될지 주목된다.

디자인자문단 가동, 현장 밀착형 지원

올해 새로 출범한 ‘디자인서울 광역 상생협력’ 사업은, 단순한 벤치마킹을 넘어 서울시 전문 디자이너가 직접 참여하는 ‘디자인 자문단’을 구성해, 타 지방정부의 프로젝트 개발 초기 단계부터 실질적인 기술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과거 비공식적으로 요청받던 자문 절차를 체계화해, 표준 디자인 가이드라인 적용·안전 디자인 검토·사용자 경험(UX) 설계 등 세밀한 과정을 현장에서 수행함으로써 시행착오를 줄이고 고품질 성과물 창출을 돕는다.

‘펀디자인’ 의자 지원, 체감 가치 확산

서울시가 올해 iF 디자인 어워드 본상을 수상한 ‘폼앤폼 의자(2종)’를 지원 성과물로 내놓은 것도 눈에 띈다.

이 의자는 청계천·서울숲 등에 설치돼 시민에게 친숙한 퍼블릭 아트 역할을 해왔으며, 실내외 어디서나 활용 가능한 모듈형 구조가 강점이다.

타 광역지방정부는 제한된 수량이지만 해당 의자를 도입해 공공장소·복지시설·관광 명소 등에 배치할 수 있으며, 설계도면과 제작 매뉴얼도 함께 제공받아 유지보수 비용과 디자인 검증 기간을 절감할 수 있다.

서울특별시(시장 오세훈)가 2010년 ‘세계디자인수도’ 지정 이후 축적해 온 도시경관·공공시설 디자인 노하우를 올해 전국 광역지방정부에 공식 공유하고 있어, 빠르게 변화하는 도시 환경 속에서 ‘디자인’이 지역 간 상생협력의 핵심 동력이 될지 주목된다. (자료=서울시청)

공동개발로 ‘규모의 경제’ 실현

서울시와 다른 광역지방정부가 함께 대형 디자인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추진하는 ‘광역지방정부 연합 공동개발’도 진행된다.

예컨대, 여러 시·도에서 공통 수요가 높은 대중교통 역사 디자인이나 복합 문화공간 설계의 경우, 역할을 나눠 디자인 생산력을 공유함으로써 단일 지방정부가 감당하기 힘든 초기 연구·시제품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 모델은 이미 지난 3월 부산시와 함께 개최한 ‘서울–부산 디자인 정책 워크숍’에서 첫걸음을 뗐으며, 향후 인천·경기·강원 등 참여 범위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예측 가능한 성과 측정, 정책 거버넌스 강화

서울시는 협력 사업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점검하기 위해 ▲참여 시도의 디자인 만족도 조사 ▲프로젝트별 유지보수 비용 절감률 ▲시민 이용 시간 증가율 등의 지표를 도입한다.

또한 국 단위 디자인 조직을 보유한 광역지방정부(서울·부산) 외에 과 단위 조직만 운영 중인 15개 시·도와도 협력 네트워크를 확대, 디자인 거버넌스 전문위원회를 설치해 정례 회의를 갖는다.

이를 통해 정책 시행 초기 단계부터 전국 단위 디자인 전략을 조율하고, 성과물의 공동 이용 방안을 상시 논의할 방침이다.

최인규 서울시 디자인정책관은 “도시의 문제 해결은 디자인에서 시작되며, 서울시의 경험과 기술이 전국으로 확산될 때 비로소 사회적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디자인서울 광역 상생협력은 5월 16일까지 전국 광역지방정부의 수요 조사 및 신청을 접수 중이며, 오는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자문단 파견과 시제품 지원, 공동개발 프로젝트를 순차 가동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한국지방정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