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 시범운영 기간 합동 시연 결과, 자동 신고 체계 정상 가동...현장 반응속도와 주민 신뢰 동시 높였다는 평가 받아
- 종로소방서와의 협의체 통해, 하천·저지대 등 취약지역 정보 공유...다음 단계 확산 기반 마련
[한국지방정부신문=김미숙 기자] ‘종로 비상벨’은 센서와 긴급 통화를 결합한 스마트 재난 대응 시스템으로, 지하주택 침수 사고에 골든타임을 확보할 해법을 제시한다.
전국 최초의 실증 사업 성과를 토대로, 내년까지 단계별 확대를 추진하는 서울 종로구(구청장 정문헌)의 도전은 다른 지방정부에도 기술·제도 협력의 물꼬를 틀 것으로 기대된다.
작년 시범운영 기간 합동 시연 결과, 자동 신고 체계가 정상 가동돼 현장 반응속도와 주민 신뢰를 동시에 높였다는 평가다. 종로소방서와의 협의체를 통해 하천·저지대 등 취약지역 정보를 공유, 다음 단계 확산의 기반을 다지고 있다.
새로운 안전 모델...반지하 참사가 바꾼 '재난관리 패러다임'
지난 2022년 8월, 수도권 집중호우 때 반지하 주택에 거주하던 일가족이 물에 잠겨 숨진 참사는 서울의 지하주택 안전 대책을 다시 쓰게 했다.
이 비극을 계기로 소방청과 종로구가 손잡고 지난해 전국 최초로 도입한 ‘종로 비상벨’ 사업은, 단순 수동 대응을 넘어 골든타임 확보를 위한 혁신적 재난관리 모델로 평가받는다.
현장에는 이미 자동 신고 기능과 긴급 통화 장치가 결합된 센서·벨이 설치되어, 위급 순간 주민 구조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2cm부터 경계, 15cm 이상 자동 신고”...원스톱 안전체계
종로 비상벨의 핵심은 침수 센서와 비상벨의 일체화다. 현관문·창문에 부착된 센서는 침수 수위 2cm부터 구청·보호자에게 알림 문자를 전송하고, 15cm 이상 올라올 경우 119로 자동 신고해 소방서 출동을 유발한다.
주민이 직접 벨을 누르면 119 종합상황실과 양방향 통화가 연결돼 현장 상황을 즉시 파악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초소형 레이더 원리 센서 개발 사례와도 맞물려, 비용·설치 용이성을 극대화한 기술 집약체라 할 수 있다.
3억7,500만원 확보…5월까지 20가구 우선 설치
종로구는 국비 3억원과 시비 7,500만원 등 총 3억7,500만원을 확보해, 올해 5월까지 중증장애인·만 65세 이상 재해취약가구 20가구에 본격 설치를 완료한다.
서울시에는 지하·반지하 주택이 약 21만 가구가 등록돼 있으나, 이 중 2,300가구만이 일몰제로 주거권이 보장된 상태로, 나머지 대다수 가구는 아직 안전사각지대에 머물러 있어 비상벨 확대는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이에 향후 전국 지방정부와 협업해 고위험 구역을 데이터 기반으로 선별 설치하고, 비용 대비 생명 안전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병행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