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묘목 공급 시기 12일 앞당겨...선제적 묘목 계약·공급으로 경제림·큰나무 조림 가장 빠르게 마쳐

- '기후위기 대응 · 탄소중립' 선도, 지속가능한 산림자원 모델 제시

경남도는 올해 묘목 수급 시기를 지난해보다 12일 앞당겨 2월 7일에 공급을 개시했고, 4월 25일까지 묘목 계약·공급을 마무리하면서 경제림 조성·큰나무 조림 등 주요 과제를 선제적으로 달성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사진=김지수 기자/경남도청)

[한국지방정부신문=김지수 기자] 경남도(도지사 박완수)가 조림지 활착률을 크게 높이고 숲의 기능 회복 시점을 앞당겨, ‘탄소 흡수 창고’로서 산림의 가치를 조기에 회복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와 관련해 경남도는 2025년 조림 사업을 전국에서 가장 신속하게 완료하며,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산림자원 조성의 새로운 기준을 세웠다.

올해 묘목 수급 시기를 지난해보다 12일 앞당겨 2월 7일에 공급을 개시했고, 4월 25일까지 묘목 계약·공급을 마무리하면서 경제림 조성·큰나무 조림 등 주요 과제를 선제적으로 달성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경남도는 2025년 조림 사업을 전국에서 가장 신속하게 완료하며,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산림자원 조성의 새로운 기준을 세웠다. (사진=김지수 기자/경남도청)

맞춤형 전략 조림으로 산림재해 예방·임업소득 다각화 추진

총 155억 원 규모의 올해 사업은 경제림 조성, 큰나무 조림, 지역특화 조림, 산불피해 복구 조림 등 기능별·지역별 특성에 맞춰 진행됐다.

특히 대형 태풍·가뭄 등 기상이변을 막아주는 큰나무 조림은 선제적 묘목 공급 덕분에 ‘재해에 강한 숲’ 조성 목표를 한 발 앞서 달성했으며, 경제림 사업도 안정적인 목재 생산 기반을 조성해 지역 임업인의 장기 소득 창출에 기여했다.

또한 경남도는 임업소득 실현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전통적인 편백 중심 공급에서 벗어나, 동백·황칠 등 열매가 식용유·화장품 원료로 각광받는 수종을 확대했다.

이로써 임업인의 초기 소득 안정화는 물론, 지역 특산자원 육성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까지 모색하며 임업의 ‘6차 산업화’ 모델을 선도하고 있다.

경남도(도지사 박완수)가 조림지 활착률을 크게 높이고 숲의 기능 회복 시점을 앞당겨, ‘탄소 흡수 창고’로서 산림의 가치를 조기에 회복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사진=김지수 기자/경남도청)

지속가능한 산림관리와 지역 협력 강화로 미래 숲 기반 마련

윤경식 산림관리과장은 “선제적 묘목 공급으로 조림지 활착률을 높이고 숲의 기능을 조기에 회복하는 성과를 냈다”며, “앞으로도 묘목 생산 대행자와의 긴밀한 소통, 사후관리 강화, 그리고 지역사회 협력을 통해 재해에 강한 지속가능 숲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경남도의 이번 조기 완수 사례는 전국 지방정부에게 묘목 수급 시기 조정, 맞춤형 수종 선택, 조림지 사후관리 강화 등으로 구성된 조림사업 ‘골든타임 전략’의 벤치마크를 제공하며,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산림 정책의 새로운 모범이 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한국지방정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