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정부 - 중앙정부 간 협력 모델…청년 일자리 정책 새 이정표 기대
- 초기 상담에서부터 기업 적응 및 고용 유지 단계까지 '원스톱 지원체계' 마련
[한국지방정부신문=김지수 기자] 부산광역시(시장 박형준)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공동으로 청년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첫걸음을 내딛어, 청년들이 지역에서 꿈을 키우고 기업과 지역이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는 환경을 만든다.
부산시와 부산지방고용노동청이 5월 13일 시청 국제의전실에서 전국 유일의 ‘지역 정착형 청년고용지원 모델’인 「부산청년 취업성공풀(Full) 패키지 지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원스톱 통합지원체계 구축, 청년 정주율 제고 · 지역 경제 활력 도모
이번 협약은 청년 구직자에게 채용 전·후 전 과정을 아우르는 맞춤형 매칭과 사후 관리를 제공하는 지방정부 · 중앙정부 간 공동 지원 시스템으로, 초기 상담에서부터 기업 적응 및 고용 유지 단계까지 원스톱 지원체계를 마련한 것이 특징이다.
부산시와 고용청의 협력으로 탄생한 이 패키지는, 지역 청년 고용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동시에 타 지방정부에도 확산 가능한 혁신적 모델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이준승 부산시 행정부시장은 “청년 취업난이 지방 소도시로 확산되는 가운데, 청년들이 지역에서 머물며 경력을 쌓을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것이 시급하다”며 “이번 패키지는 청년의 안정적 정착은 물론 중소·중견기업의 인력난 해소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노동경제학자 박지은 박사는 “청년 취업 지원이 어느 한 시점의 채용 지원에 그치지 않고, 정착과 유지까지 아우르는 체계로 설계된 것은 매우 선진적”이라며 “부산 모델이 성공하면 전국 지방정부가 유사 프로그램을 도입해 지방 청년 유출 방지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최대 820만 원 지원…청년 · 기업 ‘체감형’ 혜택 강화
협약에 따라 부산시는 지역 중소·중견기업에 취업한 만 39세 이하 청년 1인당, 1년간 고용 유지 시 최대 100만 원의 ‘청년취업도약지원금’을 지급한다.
권역별 청년구직관리책임제로 지정된 청년두드림센터, 잡성장카페, 청년센터 등에서 전담 코디네이터의 1대1 구직 상담과 현장 탐방, 매칭 및 사후 관리를 제공한다.
고용청 측은 참여기업에 청년 1인당 최대 720만 원의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을 지원하며, 찾아가는 기업진단 컨설팅과 밀착 관리 서비스를 통해 채용 기업의 경영 환경 개선과 고용 안정성을 높인다.
이로써 청년 1명당 최대 820만 원의 지원 혜택이 보장되어, 기업의 인건비 부담을 크게 경감시키고 청년들의 안정적 출발을 돕는다.
부산시는 14일부터 올해 12월 31일까지 사업 참여 신청을 받으며, 부산시에 주민등록을 둔 만 39세 이하 청년은 권역별 취업상담기관에서 코디네이터와 상담 후 부산경영자총협회 또는 부산경제진흥원에 방문, 팩스, 이메일 등으로 신청할 수 있다. 자세한 문의는 부산경영자총협회(☎051-316-7411) 또는 부산경제진흥원(☎051-816-4600)에서 안내받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