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산 · 양육 친화적 환경 조성 박차, 인구감소지역 경제 '온기' 불어넣기
- 5자녀 이상 지원 이어 4자녀로 확대…'다자녀 정책 선도' 지방정부 자리매김
[한국지방정부신문=김지수 기자] 충북도(도지사 김영환)가 인구감소지역 내 18세 이하 자녀 1명 이상을 포함한 4자녀 가구을 대상으로 분기별 25만 원씩 총 100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해, 양육비 부담을 실질적으로 덜고 지역 내 소비를 촉진하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선제적 정책을 펼친다.
이와 관련해 충북도는 5월 14일부터 전국에서 처음으로 인구감소지역 내 4자녀 가정까지 지원 대상을 넓힌 ‘인구감소지역 4자녀 가정 지원사업’을 시행하며, 출산·양육 친화적 환경 조성에 박차를 가한다.
김수민 정무부지사는 “4자녀 가정 지원 확대는 단순한 금전 지원을 넘어 양육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함께 짊어진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며, “앞으로도 충북형 다자녀 정책을 다각도로 발전시켜, 아이 키우기 좋은 충북을 넘어 아이 넷 키우는 보금자리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도내 제천·보은·옥천·영동·괴산·단양 등 6개 시·군에 거주하며, 18세 이하 자녀 1명 이상을 포함한 4자녀 가구가 대상이다.
충북도는 작년 ‘초(超) 다자녀 가정 지원사업’을 통해 5자녀 이상 가구를 돕는 데 이어, 이번에 4자녀까지 확대하며 다자녀 가정 지원의 사각지대를 해소했다.
지역화폐 지급, '지역균형 발전 효과' 노려...일자리 창출, 정주 여건 강화 사업 시너지
양육비 부담이 커 침체된 지역 소비 심리를 되살리고, 지역화폐 사용을 통한 소상공인 매출 증대 효과도 노린다.
특히,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통한 간편 신청 절차와 분기별 자동 지급 시스템으로 행정 효율성을 높여, 신청 가정이 별도의 복잡한 서류 부담 없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했다.
지역 균형 발전 측면에서도 이번 사업은 의미가 크다. 인구감소지역의 공공서비스 접근성 강화와 인구 유출 억제가 시급한 가운데, 다자녀 가정에 대한 직접적 지원은 지역 정주 여건 개선과 공동체 활성화로 이어질 전망이다.
지원금이 지역 화폐로 지급되는 구조는 마치 ‘돌려 쓰는 지역경제 부양책’과 같아, 각 시·군 상권의 회복력도 동시에 높일 수 있다.
다자녀 지원 표준, '저출산 · 인구감소 문제 대응' 모범 사례 자리매김 전망
이러한 전략은 향후 충북도가 추진 중인 일자리 창출, 정주 여건 강화 사업과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도는 다자녀 가정 주거환경 개선, 다태아 조제분유 지원, 가족 캠프 운영, 장학금 지원, ‘다자녀 행복카드’ 발급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 확대하며, 다자녀 가족의 삶 전반을 두텁게 보살필 방침이다.
충북도의 이번 선도적 조처는 단일 사업으로 끝나지 않는다. 향후 인구감소지역 확대 적용과 지원 금액 조정, 더불어 3자녀 이하 가정 지원 방안 등 다각적 검토를 통해 ‘전 세대 평등 육아 지원 모델’을 완성해 나갈 예정이다.
이를 통해 충북은 전국 지방정부가 주목하는 다자녀 지원의 표준이자, 저출산·인구감소 문제에 대응하는 모범 사례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