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선 8기 산업 · 교육 · 복지 삼박자 정책 불러온 성과...지역 활력 회복의 전조 밝히다
- 청년층 순유출 최저 · 혼인 증가·출생율 소폭 반등...'인구구조 전환 견인' 세부 지표 제시
[한국지방정부신문=김지수 기자] 경남도(도지사 박완수)가 인구 224명 순유입이라는 단기 성과로 경남형 산업·교육·복지 정책이 지역 정주 여건 개선에 기여했음을 입증했다.
잇따른 순유출 속 비집고 들어온 순유입...2018년 5월 이후 최대치 기록한 의미
2025년 4월, 경상남도는 224명의 인구 순유입을 기록하며 2018년 5월(+250명) 이후 6년 10개월 만에 가장 높은 월간 순유입 규모를 달성했다.
통계청 집계에 따르면, 전국 17개 시도 중 8곳만이 순유입을 기록했으며, 경기(3,101명), 인천(2,535명), 충남(941명)에 이어 경남은 중위권에 위치했다.
이 같은 성과는 지난해 11월(+94명)부터 나타난 순유입 흐름이 5개월 만에 본궤도에 오른 결과로, 도민들의 ‘살기 좋은 경남’에 대한 체감이 통계로 연결된 상징적 사건이라 평가할 수 있다.
'청년층 유출 감소'가 견인한 순유입 전환...20~39세 순유출 7년여 만에 최저치 기록
경남의 순유입 전환에는 청년층의 인구 이동 양상이 결정적이었다. 2039세 청년층은 4월 기준 순유출이 170명으로, 2017년 12월(-92명) 이후 7년 4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고, 2529세 여성은 9개월 만에 순유입(+21명)으로 돌아섰다.
이러한 변화는 수도권·대도시 집중현상이 완만해지고, 경남이 제공하는 취업·주거·문화복지 여건이 청년층을 끌어당기기 시작했음을 시사한다.
1~4월 누적 순유출(4,505명)은 전년 동기간(-8,816명)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 청년 인구 감소세가 현저히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혼인 건수 증가와 출생아 소폭 반등...가계 형성 지표 회복의 기미
혼인 건수는 3월 975건으로 전년 동월(865건) 대비 12.7% 증가했으며, 1분기 누적 혼인 건수도 3,086건으로 6.6% 늘어났다.
동시에 1분기 출생아 수는 3,473명으로 전년 동기(3,440명) 대비 1.0% 상승했고, 합계출산율은 0.89명으로 전년 동기(0.86명) 대비 0.03점 올랐다.
통계청 ‘2025년 3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이 같은 결혼·출산 회복세는 혼인 후 2~3년 이내 자녀를 가지는 경향을 고려할 때, 하반기 출생아 수 반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정책 전담팀 출범과 도민 참여 채널 확대...'현장 중심' 인구정책 운영 강화
올해 1월 ‘인구미래담당관실’을 신설한 경남도는 5월 19일 도내외 전문가로 구성된 ‘경남 인구정책 전담팀(TF)’을 출범시켰다.
현장 간담회, 전문가 자문, 6월 예정된 정책고객 간담회를 통해 정책 실효성과 도민 수요 반영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이러한 조직적 체계화는 ‘단발성 이벤트’가 아닌 장기적 인구 증감 대응을 위한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전망이다.
특히 경남도는 지속가능한 인구 증감을 위해서는, ▲청년 일자리 창출 가속, ▲주거비 부담 완화, ▲돌봄·문화 인프라 확충 등 중장기 과제 수행을 위해, 이번 성과를 기반으로 ‘지방소멸 대응 모델’을 전국에 제시하며 디지털·그린 뉴딜과 연계한 복합 전략으로 인구 활력 회복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