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록 전남지사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전환은 선택 문제 아닌 국가 생존 전략의 문제...기후에너지부 유치해 ‘전남형 에너지 전환 모델’을 국가정책으로 확산 앞장”

김영록 전남지사는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전환은 선택 문제가 아닌 국가 생존 전략의 문제"라며 "기후에너지부를 유치해 ‘전남형 에너지 전환 모델’을 국가정책으로 확산하는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사진=조용원 기자/전남도청)
김영록 전남지사는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전환은 선택 문제가 아닌 국가 생존 전략의 문제"라며 "기후에너지부를 유치해 ‘전남형 에너지 전환 모델’을 국가정책으로 확산하는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사진=조용원 기자/전남도청)

[한국지방정부신문=정양기, 조용원 기자] 이재명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기후에너지부' 신설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국내 유일의 공동혁신도시이며 한국전력을 비롯한 에너지 행정ㆍ기술 인프라가 집적화 되어 있는 광주ㆍ전남공동 나주혁신도시가 기후에너지부의 가장 최적의 입지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에너지 수도’ 전남의 전략적 입지, 탄탄한 인프라와 더불어 2차 공공기관 이전, 국토균형발전, 그리고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공약과의 연계성이 ‘나주 유치론’에 힘을 싣고 있다.

기후에너지부의 나주 이전이 단순한 유치 경쟁을 넘어 '실용 중심 정부'와 '균형 있는 대한민국'을 실현하는 리트머스 시험지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즉, 기후에너지부의 성공적 안착은 단순한 물리적 설치를 넘어서 실행역량, 정책 수용성, 지역 에너지 생태계와의 연결성이 관건으로, 나주는 정책 효율성과 국토 균형발전이라는 두 축을 모두 충족시키는 사실상 유일한 대안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11일 공식 입장문을 통해 “기후에너지부는 기후위기 대응과 산업·에너지 전환을 유기적으로 연계할 국가 전략의 중심축”이라며 “대한민국 에너지 심장부인 나주혁신도시에 반드시 유치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기후·에너지정책 통합 컨트롤타워…지역 분산형 에너지 구조와 맞닿아

그간 기후와 에너지 정책은 산업부·환경부·해수부·국토부 등 부처 간 분절된 책임 구조 속에 실효성이 떨어졌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기후에너지부는 이 같은 구조적 문제를 극복하고 정책 실행력을 강화할 통합 컨트롤타워로 기능할 예정이다.

이런 맥락에서 전남 나주는 ‘분산형 에너지 체계’의 실험장이자 실행 거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3.2GW 규모 아시아 최대 주민참여형 해상풍력 단지, 전국 최초의 RE100 데이터센터 산업단지, 영농형 태양광, 분권형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계획 등과 함께 에너지 기본소득, 주민참여형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주민 이익공유제 등 새로운 정책대안들이 이미 실행에 옮겨진 ‘전남형 에너지 전환 모델’이 전국 최초로 실제 진행되고 있다.

또한 전남은 대한민국 기후리더십을 전 세계에 천명할 제33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3) 유치, 국가 탄소중립에 기여할 여수국가산단·묘도 CCUS와 여수·광양만권 청정수소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농식품기후변화대응센터와 국립아열대작물실증센터, 해양 탄소흡수원 확충을 위한 국가해양생태공원과 블루카본 바다숲 조성 등 농수산 분야 기후변화 대응 플랫폼도 구축하고 있다.

“서울·수도권 과밀 해소” 2차 공공기관 이전과의 연결고리

이재명 정부는 1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에 이어 ‘2차 공공기관 이전’을 통해 수도권 과밀 해소와 지역 혁신거점 육성을 본격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혀왔다. 기후에너지부의 신설과 지방 이전은 이러한 국가 정책 흐름과도 정확히 궤를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나주혁신도시는 이미 한전, 전력거래소, 한전KDN 등 주요 에너지 공기업들이 밀집해 있는 에너지 행정·기술의 중심지다.

기후에너지부가 입지 한다면 에너지 정책 수립부터 실행, 모니터링까지의 전 주기를 원스톱으로 구현할 수 있는 ‘에너지 수도’가 완성될 것이라는 기대가 높다.

‘해수부 부산 이전’ 공약과 균형발전 원칙 일관되게 적용해야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해양수산부를 해양수도의 상징인 부산으로 이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단순한 지역 안배 차원을 넘어 중앙부처의 기능을 해당 분야 중심 지역으로 이전해 효율성과 전문성을 높이겠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같은 논리라면, 에너지 산업의 중심인 전남·나주에 기후에너지부를 설치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귀결이라는 지적이다.

또한 기후위기의 최전선이자 신재생에너지의 최대 생산지인 전남은 국가 탄소중립 전략의 핵심 실험지이기도 하는 점에 그 당위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균형발전과 실행력의 교차점이 나주”...정책·지리·산업 인프라 3박자 갖춰

김영록 전남지사는 “전남의 재생에너지 잠재량은 1,176GW로 전국(7천333GW)의 16%에 달해 전국 1위”라며 “기후위기 대응, 블루카본 조성, 수소·CCUS 등 전국에서 가장 적극적이고 다층적인 전환 정책을 실현하고 있는 전남이야말로 기후에너지부의 실행력을 보장할 유일한 후보지”라고 말했다.

이어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전환은 더 이상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생존 전략의 문제”라며 “최전선 현장에서 답을 찾아온 전남도가 중앙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기후에너지부’ 조직 설계에 지역 목소리를 담고 ‘전남형 에너지 전환 모델’을 국가정책으로 확산하는데 앞장서겠다”고 유치 의지를 강력히 피력했다.

저작권자 © 한국지방정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