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민 스스로 연구하는 ‘시민박사’ 배출
- 사회적 고립부터 저출생, 갈등 해결까지…학제 넘은 전공 제도로 심화된 학습, 시민 역량을 비약적으로 확장
- 평생학습으로 확산되는 '시민 주도 혁신',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 견인하다
[한국지방정부신문=김미숙 기자] 서울특별시(시장 오세훈)가 '시민박사' 배출을 통해 시민 스스로가 연구자로 성장해 도시의 난제에 해법을 제시하는 ‘시민 주도 도시 거버넌스’ 모델의 초석을 다지며, 국내외 다른 광역지방정부와 차별화된 평생학습 도시로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서울시민대학은 2019년 도입된 ‘명예시민학위’ 제도를 통해 시민이 단순 학습을 넘어 도시문제를 직접 연구·해결하는 새로운 플랫폼을 구축했다.
평생학습, 도시 거버넌스의 핵심 동력 되다...시민참여 연구 문화 정착
이번 제7회 수여식에서 첫 배출된 시민박사 12명을 포함해 총 217명의 명예시민학위 취득으로, 누적 1,893명의 시민이 평생학습을 통해 학사·석사·박사 학위를 ‘비공인’ 형식으로 받았다.
이 제도는 100시간 이상 강좌 수강 시 ‘시민학사’, 추가 200시간 이수 및 결과물 승인 시 ‘시민석사’, 다시 300시간의 심화 교육·실습을 완료하면 ‘시민박사’로 이어지는 세 단계 구조를 갖추고 있다.
‘시민박사’ 12인의 연구 성과가 보여준 '도시문제 해결' 구체적 해법
시민박사 과정은 1년 반 동안 공통이론, 실천학습, 전공세미나를 결합한 맞춤형 커리큘럼으로 운영됐다.
이 중 12명의 시민박사는 ▲사회적 고립감 해소를 위한 자원봉사 모델 연구 ▲갈등 상황의 이해·해결 전략 개발 ▲저출생 시대를 위한 상례문화 혁신 방안 등, 서울시정과 직결된 주제별 연구 결과물을 도출했다.
대표적으로 안기영 박사는 합계출산율 0.78명 시대에 ‘여성 참제권 확대와 친환경 장례문화 도입’이라는 구체적 제안을 발표해, 학계와 시민단체의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이 같은 연구물은 서울시민대학 4개 캠퍼스에 배치돼 시민 누구나 열람·참여할 수 있도록 공개된다.
전공 제도 도입으로 심화된 학습 과정, '서울 시민의 전문성 · 실천력' 높이다
서울시민대학은 올해부터 학위 과정에 ‘전공 제도’를 새롭게 도입해, 시민석사 과정에 약자동행·디지털미디어교육·도시환경 3개 전공을 개설했다.
이를 위해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등 유관 전문기관과 파트너십을 맺어 강사진과 실습 기회를 확충했으며, 학습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현장 연계 프로젝트를 의무화했다.
하반기 개편될 시민박사 과정은 ‘서울학’을 핵심으로 시민의 경험과 아이디어가 실제 정책에 반영되는 실천적 연구 중심 과정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한용진 서울시평생교육진흥원장은 “학습을 개인의 지적 성장을 넘어 공동체와 도시문제 해결로 확장해 주신 시민 여러분께 감사드린다”며, “서울시민대학이 학교 중심 교육을 넘어 평생학습의 지평을 넓혀 나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