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령·하동·함양·합천 4개 군에 3년간 200억 투입…청년·신혼부부 임대주택 75호 공급, 지역 활력과 공동체 재생 동시에 노린다

- 지방소멸 대응 광역기금 100억 지원·민관 협업 모델로 ‘일자리·주거’ 통합 지원 체계 구축

경남도(도지사 박완수)가 청년 유출의 뿌리인 주거 불안과 일자리 불일치를 동시에 해결하는 통합 지원 체계로 실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일자리 연계’라는 단서를 달아 단순 주거공급을 넘어 지역 경제와 노동시장 활성화를 염두에 두는 '청년 일자리 연계 주거지원 사업'을 본격화한다. (사진=김지수 기자/경남도청)
경남도(도지사 박완수)가 청년 유출의 뿌리인 주거 불안과 일자리 불일치를 동시에 해결하는 통합 지원 체계로 실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일자리 연계’라는 단서를 달아 단순 주거공급을 넘어 지역 경제와 노동시장 활성화를 염두에 두는 '청년 일자리 연계 주거지원 사업'을 본격화한다. (사진=김지수 기자/경남도청)

[한국지방정부신문=김지수 기자] 경남도(도지사 박완수)가 청년 유출의 뿌리인 주거 불안과 일자리 불일치를 동시에 해결하는 통합 지원 체계로 실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일자리 연계’라는 단서를 달아 단순 주거공급을 넘어 지역 경제와 노동시장 활성화를 염두에 두는 '청년 일자리 연계 주거지원 사업'을 본격화한다. 

경남도는 2025년 ‘청년 일자리 연계 주거지원 사업’ 공모 결과, 의령·하동·함양·합천군을 최종 지원 대상 지역으로 확정했다.

이 사업은 2025년부터 2027년까지 3년간 총 200억 원을 투입해,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한 임대주택 75호를 건설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인구소멸 경고등 켜진 4개 군, 청년 주거지원...'활력 재점화의 불씨' 지피다

각 군별 사업계획은 지역 핵심 산업 또는 성장 동력과 연계해, 입주 청년이 곧장 현지 기업·농가·스타트업과 매칭되도록 구성됐다.

이를 통해 청년들이 주거지를 떠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일자리를 구할 수 있어, 청년 유출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경남도가 자체 마련한 지방소멸 대응 광역기금 100억 원을 지원해, 국비 의존도를 낮추면서도 사업의 안정적 추진 기반을 다졌다.

이로써 청년들이 “살 곳이 없어서” 떠나는 악순환에서 벗어나, 일자리와 주거가 연계된 새로운 삶의 터전을 갖추게 될 전망이다.

‘청년하우스’부터 ‘에코풀 빌리지’까지...'창의적 주거 모델', 귀향 유인책 다각화

의령군은 기존 청년 주거단지와 커뮤니티센터 부지에 ‘알콩달콩 청년하우스 조성사업’을 추진해, 공동생활과 협업 스튜디오를 결합한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을 선보인다.

하동군은 딸기 농가 인프라를 활용해 농촌형 컴팩트 도시 ‘딸기청년 에코풀 빌리지’를 조성, 농업과 도시생활이 공존하는 혁신적 농촌 주거 모델을 실험한다.

함양군은 먹거리 통합지원센터, E-커머스 투자 선도지구 등과 연계해 ‘내일(Work&Home)의 마천삶터’를 구축, 스마트팜과 원격근무 인프라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생활공간을 조성한다.

합천군은 기존 공공임대주택 부지에 청년·신혼부부 클러스터를 만들어, 교육·문화·창업 지원을 결합한 복합 커뮤니티 단지를 완성할 계획이다.

민·관·공 조율, 예산 효율성과 정책 지속가능성 확보...‘지속 가능한 귀향 모델’ 진화

신종우 경남도 도시주택국장은 “지방소멸은 수치상의 감소가 아니라 지역 공동체의 붕괴를 의미한다”라며 “청년과 신혼부부가 지역에 정주할 수 있는 주거와 일자리를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야말로 공동체를 살리는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경남도는 이번 사업을 토대로, 지방정부부 예산 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높은 정책 효과를 내는 민·관·공 협업 모델을 전국에 확산시키겠다는 의지를 전했다.

2027년 완공 이후, 이 사업이 성공사례로 자리매김하면, 타 광역·기초지방정부들의 유사 프로젝트 도입에 긍정적 자극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저출산·고령화의 충격파 속 인구소멸 높아져...선제적 대응, 지방 소멸 리스크 줄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2024년 0.78명으로 OECD 최하위 수준이며, 경남도 내 11개 군은 이미 인구소멸 위기단계로 지정됐다.

이 가운데 의령·하동·함양·합천군의 청년층 인구 비중은 2020년 대비 2025년 현재 15% 포인트 이상 감소했다.

경남도의 청년 일자리 연계 주거지원 사업은, 단순 물리적 집 공급을 넘어 지역사회의 인구·산업·커뮤니티를 통합적으로 재구성하려는 혁신 전략으로서, 지방소멸 대응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한다.

저작권자 © 한국지방정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