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기정 시장 주재 ‘TF회의’, 대선공약 국정과제 반영전략 등 점검...AI 부처 신설·특별법 제정, 사법기관 지방 이전 등 신규과제도 추진
- 강기정 시장 “이재명 정부서 광주 미래 위한 공약의 국정과제 반영과 골목상권 회복이라는 두 날개 펴고 광주가 날아오를 수 있게 모두 함께 해달라”
[한국지방정부신문=조용원 기자] 이재명 정부 5년의 청사진을 만드는 인수위원회 겪인 국정기획위원회(위원장 이한주)의 공식 출범과 함께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가 중앙정부와의 정책 협의 전진기지와 지역밀착형 민생경제 회복기구를 동시에 가동하며 ‘양날개 전략’을 통해 지역 발전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16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실·국장과 산하 공공기관장이 참석한 가운데 ‘대선공약 국정과제 TF회의’를 주재하고, 대선공약과 지역경제 회복을 동시에 꿰뚫는 ‘양날개 상황실’ 구상을 공식화했다.
핵심은 ▲서울에서 중앙부처와 직접 맞붙는 ‘대선공약 서울상황실’과 ▲골목상권 회복을 위한 현장밀착형 ‘골목경제 상황실’을 병행 운영한다는 점이다.
광주시의 이번 ‘양날개 전략’은 광역지방정부가 국가정책 관철과 지역현안 해법을 병렬적으로 추진하는 이례적인 시도로 성공 여부는 중앙정부와의 협의 역량, 지역사회 내 실천력이라는 ‘이중 관문’을 통과할 수 있느냐에 달렸다는 지적이다.
이 같은 광주시의 새로운 도전은 단지 행정의 실험이 아닌 지방정부가 국정을 어떻게 리드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는 본보기로 기록될 수 있을 전망이다.
정책의 '수직축' – 서울에서 직접 실행한다
광주는 대선 과정에서 제안한 7대 핵심공약을 중심으로 중앙정부와의 협상을 본격화한다.
서울에 설치될 ‘대선공약 서울상황실’은 대통령실, 국정기획위원회, 각 부처를 상대로 실시간 정책 협의를 벌이는 교두보다.
이재명 정부의 광주시 7대 지역공약은 AI 국가시범도시 조성, 민‧군 통합 서남권 관문공항 건설, 대한민국 대표 모빌리티 도시 육성, 아시아문화중심도시 3.0 시대 개막, 영산강·광주천 수변도시 개발, 초고자기장 연구인프라 구축, 서남권 메가시티 조성 등이다.
강 시장은 이에 더해 ‘AI부 신설’, ‘AI 국가특별법 제정’, ‘사법기관 지방 이전’ 등 신규 국정과제 제안도 병행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기존 공약 이행에 그치지 않고 ‘미래 선점형 광주 전략’으로 확대하겠다는 포석이다.
민생의 '수평축' – 골목에서부터 회복한다
‘골목경제 상황실’은 소상공인 보호, 소비진작, 공공-민간 연계사업 등을 중심으로 한 현장 중심의 실천 기구다. 오는 18일에는 공공기관-상권 매칭사업 점검회의가, 20일에는 공공배달앱 활성화 간담회가 예정돼 있다.
강 시장은 이 기구를 통해 "단기 처방이 아닌 골목경제의 체질을 바꾸는 지속가능한 해법"을 찾겠다고 강조했다. 광주시는 이를 위한 골목상권 전담 조직 신설도 검토 중이다.
양 날개의 시너지, 실험대에 오른 광주형 모델
이번 정책은 단순한 행정 조직 신설이나 TF 구성의 범주를 넘어 중앙-지방 연계와 현장 밀착형 정책을 동시 추진하는 복합 모델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강기정 시장은 “광주가 한쪽 날개만으로는 날 수 없고, 공약 반영과 골목 회복이라는 두 날개를 펼쳐야 광주가 날아오를 수 있다”며 “이재명 정부의 국정 드라이브에 맞춰 광주도 선제적으로 움직이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