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조1천억 원 육성자금·50% 영세기업 이차보전 확대, 조선·항공·원자력 특화산업 지원 강화로 지역 제조업 경쟁력 제고

-경남기업119 원스톱·대미 수출 긴급자금 100억, 기업애로 해소와 글로벌 시장 대응 역량 동시 확보

경남도(도지사 박완수)의 ‘2025 지역중소기업 육성 우수 지방정부’ 1위 선정은 경남도가 전국 최대 규모의 예산과 혁신적 제도를 무기 삼아, 중소기업 성장과 지역 경제 활력을 동시에 견인하는 모범 사례로 인정받았음을 보여준다. (자료=경남도청)
경남도(도지사 박완수)의 ‘2025 지역중소기업 육성 우수 지방정부’ 1위 선정은 경남도가 전국 최대 규모의 예산과 혁신적 제도를 무기 삼아, 중소기업 성장과 지역 경제 활력을 동시에 견인하는 모범 사례로 인정받았음을 보여준다. (자료=경남도청)

[한국지방정부신문=김지수 기자] 경남도(도지사 박완수)의 ‘2025 지역중소기업 육성 우수 지방정부’ 1위 선정은 경남도가 전국 최대 규모의 예산과 혁신적 제도를 무기 삼아, 중소기업 성장과 지역 경제 활력을 동시에 견인하는 모범 사례로 인정받았음을 보여준다.

경남도는 비수도권 지방정부 최초로 자체 납품대금 연동제 우수기업 지원사업을 도입하여, 대·중소기업 간 투명한 거래 관행을 확립하고 중소기업의 현금흐름 안정화를 견인했다.

이를 통해 하도급·계열사에 의존하는 지역 기업들이 납품대금을 적기에 받고, 동반성장의 기반을 공고히 함으로써 ‘기업 생존과 성장 사다리’ 정책의 대표 모델로 자리매김했다.

“ESG 경영부터 기술혁신까지” 중소기업육성자금 · 경영컨설팅 · 인프라 구축 

도는 중소기업육성자금 1조 1천억 원 중 5,554억 원을 상반기에 지원하고, 하반기부터는 영세기업 50% 대상 이차보전율을 0.1%p 추가 확대한다.

조선·항공우주·원자력·방위산업 등 특화 분야에는 전년 대비 400억 원 증액한 2,000억 원을 배정했으며, 여성기업 전용 100억 원도 신설했다.

그 외에도 ESG 경영 지원, 경남디자인 주도 제조혁신, 재해예방 안전디자인 인프라 구축 등 156개 사업에 총 3천억 원을 투입해 기업 전 주기별 맞춤형 패키지 지원을 구현했다.

100억 긴급자금·수출보험료·물류비 지원, 대미 수출기업 '선제적 안전망' 구축

미국의 관세 인상 압력 속에서 도는 대미 수출기업 10개 사에 긴급자금 50억 원(총 100억 원)을 투입했고, 수출보험료 지원 예산을 4억 5천만 원 증액함으로써 보험 가입 한도를 10만 달러에서 30만 달러까지 확대했다.

물류비 부담 경감을 위해 추경으로 2억 원 규모의 수출물류비 지원사업을 신설해, 경남 중소기업의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한층 강화했다.

“경남기업119”로 민원부터 현장 애로까지 한 번에 해소

‘경남기업119’ 플랫폼은 기업지원 사업 정보를 통합 안내하고, 온라인 민원 접수 즉시 해당 부서와 연결해주는 원스톱 서비스다.

지난해 1월 도입 이후 914개 기업이 5,554억 원을 지원받으며 호응을 얻었고, ‘찾아가는 현장간담회’를 통해 중소기업의 개별 애로사항을 직접 청취·해결함으로써 경영 환경 개선의 체감도를 높였다.

'14개 대기업·지장정부·도민 함께', 경제라운드테이블로 현장 과제 해결 모색

올해 4월 구성된 ‘경남경제라운드테이블’은 지역 대기업 14개 사, 해당 시·군·구, 도민 대표가 참여하는 협의체로, 침체한 건설 중소기업의 납품 대금과 안전 관리 과제를 집중 논의한다.

연동제 지원과 협력사업 추진을 통해 대기업의 협업을 이끌어내고, 중소기업과 도민이 상생하는 새로운 경제 거버넌스 모델을 구축한다.

우명희 경남도 경제기업과장은 “올해 거둔 성과는 경남만의 특화된 정책 조합이 성과를 낸 결과”라며, “내년에는 중소기업이 강소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 대상을 고도화하고, 현장 맞춤형 지원을 더욱 확대하겠다”고 다짐했다.

이와 관련해, 경남도는 최근 중소벤처기업부의 ‘2025년 지역중소기업 육성 우수 지방정부’ 전국 1위로 선정됐다.

중소기업 지원 우수기관 포상은 매년 시도에서 수립하는 지역중소기업 육성 및 혁신촉진 계획 등을 중소기업정책협의회(위원장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가 심의해, 지역 특성과 여건에 맞는 우수한 정책을 펼친 지자체를 선정해 시상한다.

저작권자 © 한국지방정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