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킹 걱정 없는 차량 통신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과 스마트 모빌리티 확대에 기여
- 기술기업과 연구기관, 양자 실증기술 직접 다루며 산업 경쟁력 강화
[한국지방정부신문=김미숙 기자] 경기도(도지사 김동연)가 실제 도로를 운행 중인 ‘판타G버스’ 자율주행 차량과 관제센터 간 통신망에 국비 18억 원 규모의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결합하는 실증사업을 이달 개시해,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과 탄소중립 교통 정책과 연계된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의 신뢰성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보안 리스크 완전 차단한 자율주행, 교통 서비스 신뢰도·안전성 대폭 상승 전망”
양자암호통신 기술은 차세대 고성능 양자컴퓨터에도 해킹이 불가능해, 자율주행 차량이 수집·전송하는 대용량 데이터의 보안 리스크를 획기적으로 줄인다.
경기도는 이번 실증을 바탕으로 향후 이 기술을 광역버스, 택시, 드론 배송 등 다양한 운송수단과 인접 자치단체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정교한 자율주행 통신망에 '해킹 불가능한 양자키분배와 양자내성암호 기술' 탑재
이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의 ‘2025년 수요기반 양자기술 실증 및 컨설팅’ 공모에 최종 선정되어 확보한 예산으로 추진된다.
판교 경기도자율주행센터를 기반으로 운행 중인 차량에 양자키분배(QKD)와 양자내성암호(PQC) 기반 보안모듈을 동시에 적용하는 세계적으로도 앞선 시도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서울–판교–대전 잇는 개방형 양자 테스트베드와 연계, 중소기업 교육·활용 아우르다
이번 실증사업은 경기도와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SK브로드밴드 등 민·관·연 컨소시엄이 공동으로 추진하며, 특히 NIA가 구축·운영 중인 서울–판교–대전 간 개방형 양자 테스트베드를 활용해 도내 중소기업들이 실증 기술을 직접 활용하고 전문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이를 통해 경기도는 차량 보안 영역을 넘어 스마트시티·의료·금융 등 민감 분야로 확장 가능한 양자산업 생태계 활성화의 교두보를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판교 센터에서 시작된 '규제·기술 협업' 모범사례
프로젝트의 기반이 되는 판교 경기도자율주행센터는 국토교통부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로 지정되었으며, 서울시 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 사업에도 선정되어 기술 개발과 규제 실증이 동시에 이뤄질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
2022년 11월 동작구 숭실대~중앙대 구간 시범 셔틀 사업을 시작으로, 작년 MOU 체결과 지정 사업비 확보까지 산학연의 협력이 어떻게 자율주행 및 양자 보안 기술 상용화를 이끄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다.
AI·양자 융합으로 그리는 경기도의 미래, 중앙정부 신산업 집중육성 방침과 조화
경기도는 이번 사업이 AI와 양자기술을 융합 적용한 선도적 모델이라고 강조한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과 협업하여 구축된 인프라와 민간 참여기업의 기술력을 결합함으로써, 정부의 ‘양자정보통신기술(Quantum ICT)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R&D 지원 강화 기조에 부응하고 있다.
김기병 경기도 AI국장은 “공공과 민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경기도를 AI·양자 기술 융합산업의 중심지로 육성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