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시범사업 21개 지구에서 시작해 상반기만 530ha 전환, 올해 말까지 30개 지구 달성 목표
- “쌀 대신 콩·옥수수 심고, 가을엔 조사료·감자·양파까지”…안강·함창·안계 평야 바꾼 농가들의 대담한 도전
[한국지방정부신문=김지수 기자] 경북도(도지사 이철우)의 3대 평야에서 시작된 '농업 대전환'이 이제는 전국적인 모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과거 단일 벼 중심 농업에서 벗어나, 연속 이모작과 법인 주주형 협업 구조로 전환한 ‘경북형 공동영농’은 고령화·인력 부족·저출산이라는 농촌의 복합 위기를 농가 스스로 혁신적으로 돌파해낸 결과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정부가 인정한 경북형 공동영농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됐으며, 인구 감소 시대에 지속가능한 농업 실현을 위한 대한민국 표준모델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경북이 만들어 낸 이 새로운 패러다임이 대한민국 농업의 미래를 어떻게 바꿔 놓을지 주목된다.
벼 단작에서 이모작 전환, 농가소득 ‘두 배’ 도약과 고령 인력 부족 문제 해소
한창 모내기 후 벼 이삭이 고개를 내밀어야 할 7월 초, 경북의 대표 평야들은 모내기가 아닌 콩과 옥수수 파종으로 분주하다.
경주 안강평야(65.3ha·26호), 상주 함창평야(102ha·51호), 의성 안계평야(면적 미정·청년 주도)에서 ‘경북형 공동영농–주주형 이모작’이 본격 가동 중이다.
어르신들이 내놓은 논에 참여 농가들이 대형 농기계를 동원해 이모작 농사를 짓고, 소득은 법인 배당으로 돌려받는다.
벼 단작 시 연 458백만원이던 농업소득이 콩·옥수수·조사료 이모작을 통해 881백만원으로 껑충 뛰어올라, 농가들은 두 배 이상의 소득 증대를 실감하고 있다.
530ha 전환·21개 시범지구로 확산…“지속가능한 농업 실현 위한 경북형 해법”
경북도는 2023년부터 ‘농업대전환’ 과제로 경북형 공동영농을 추진해 왔다. 시범운영 1년 만에 17개 공동영농지구와 4개 들녘특구 등 21개 지구를 조성했으며, 2025년 상반기에만 530ha의 논을 이모작용 타작물 재배지로 전환했다.
특히 경주는 2024년 외동지구에 이어 안강·용강·사곡 등 4개 지구가 잇달아 참여 의사를 밝히며, 권역별 확산세를 주도하고 있다.
의성 역시 청년 농부들이 주축이 돼 안계·단밀 지구를 이끌며, 상주 함창지구는 7월 말 이모작 수익금을 참여 농가에 첫 배당할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인력 부족과 노령화라는 농촌의 구조적 문제를 규모화·기계화된 공동영농으로 풀었다”며, “연말 평가를 통해 우수 지방정부에 추가 사업비를 지원해 30개 지구 달성을 가시화하겠다”고 전했다.
주주형 공동영농, 농업혁신의 키워드…지역 주도·책임 경영 체계로 지속가능성 확보
경북형 공동영농은 개별 농가 단위가 아닌 마을 단위 협업을 통해 농지를 모으고, 주주형 법인을 구성해 의사결정과 책임경영을 수행하는 모델이다.
이 방식을 통해 1개 농가가 감내하기 어려운 대형 농기계 도입과 유지·관리, 타작물 전환에 따른 생산기술 연구까지 공동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됐다.
그 결과, 경지 이용률이 종전 75% 수준에서 90% 이상으로 상승했고, 생산성은 평균 20% 이상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농업 대전환, 농촌 활력의 새로운 동력”…미래 세대를 위한 지속 혁신 로드맵 제시
농업대전환의 다음 과제는 현장의 성과를 제도화·제도권 지원으로 연결하는 일이다. 경북도는 2026년부터 2035년까지 이모작 공동영농 모델을 전 시군으로 확대하고, 금융·세제·기술 교육 패키지를 제공하는 ‘1단계 확산·안정화 계획’을 마련했다.
이어 2036년부터 2045년까지는 ‘2단계 심화·고도화 계획’을 통해 스마트팜·정밀농업 기술 접목, 수출 품목 발굴, 고부가가치 가공산업 연계 등으로 농촌경제의 재도약을 지원한다.
이 같은 중장기 로드맵은 농촌 공동체의 활력을 되살림과 동시에, 기후변화·국제 곡물시장 변동에도 흔들림 없는 한국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것으로 평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