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형 상생토크가 선사한 ‘현장 우선’ 도민 소통 모델
- 남해안 관광 중심지로 비상 중인 남해...양식장 자동화부터 국가산단 법제화, 마을 공동급식까지 지역 경제·복지 잇는 현장의 이슈들
[한국지방정부신문=김지수 기자] 경남도(도지사 박완수)가 ‘경남형 상생행정’을 통해, ‘현장 우선 소통’과 ‘도민 제안의 정책화’를 행정 운영의 핵심 원칙으로 확고히 다져 가고 있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지난 3년간 경남은 미래 100년을 준비하는 토대를 쌓아 왔다”며, “남해 도민 한 분 한 분의 목소리가 모여 정책이 되고, 그 정책이 다시 도민의 삶을 바꿔 놓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남해 국민체육센터 가득 메운 200여 명의 도민이 만든 소통의 장
7월 4일 오후, 남해군 국민체육센터에는 박완수 지사와 장충남 군수를 비롯해 200여 명의 남해 주민들이 모여 ‘제7회 도민 상생토크’의 막을 올렸다.
‘투자와 소통으로 빚은 남해의 오늘, 도민의 제안으로 그릴 내일’을 주제로 열린 이 행사는, 현장 발언부터 질의응답·제안 수렴까지 2시간이 넘게 이어지며 도정이 나아갈 방향을 주민 스스로 설계하는 진면목을 보여 주었다.
남해안 관광의 신흥 거점으로 떠오른 이유와 미래 전략
“남해가 남해안 관광의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다”는 박완수 경남도지사의 말처럼, 최근 바래길 전 구간 개통, 남해~여수 해저터널 착공, 쏠비치 남해 개장 등 굵직한 인프라 변화가 연이어 이뤄졌다.
이 같은 투자는 경상남도가 2025년까지 도내 관광객을 40만 명으로 늘린다는 목표를 세운 배경이기도 하다.
주민들은 “계절별 축제와 해안 드라이브 코스가 어우러져 재방문율이 눈에 띄게 높아졌다”고 평가하며, 관광 활성화를 위한 양식장 자동화 지원 확대를 건의했다.
수산업 자동화·국가산단 특별법...산업과 환경, 두 마리 토끼 잡기
현장에서 가장 뜨거웠던 제안 중 하나는 양식장 자동화 장비 지원 한도 확대였다. 어업 현장의 고령화와 인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자동화 설비를 더 쉽게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고, 박 지사는 “경영비 절감과 품질 안정화를 위해 지원 한도를 상향 검토하겠다”고 화답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여수·광양 국가산단의 대기오염 피해 구제를 위한 ‘국가산단 주변지역 주민지원 특별법’ 제정 논의가 심도 있게 이뤄졌는데, 도 관계자는 “관련 법안 국회 심의 과정을 면밀히 모니터링해 신속 통과를 지원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농업 · 생활밀착형 제안으로 그려진 '스마트 농촌' 청사진
남해 군민들은 양식업 외에도 농작물 재해보험 가입요건 완화, 도립남해대학 기숙사 현대화, 골목상권 활성화 방안, 농번기 공동급식 운영 개선 등 생활 현장의 여러 과제를 제시했다.
특히 “기후변화에 따른 빈번한 태풍·가뭄에 대비해 소규모 농가도 재해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제안에는, 도가 “제도 개선 방안을 올해 하반기 중 마련하겠다”고 답해 실질적 변화 의지를 드러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