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천 건 민원, 3년간 답 · 해법으로 다진, 지속 가능한 소통 모델로의 진화
- 환경부터 복지까지 삶 전반을 아우른 현장 중심 행정, 340만 도민 신뢰의 토대 굳건히
[한국지방정부신문=김지수 기자] 경남도(도지사 박완수) ‘열린도지사실’이 도민 목소리를 즉각 수렴해 행정에 반영하는 소통 플랫폼을 넘어, 정책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사회 안전망이자 신뢰 기반의 사회적 자본으로 자리매김했다.
도민과의 접점 확대한 온 · 오프라인 소통 거점
경남도는 민선 8기 출범 직후인 2022년 8월 ‘열린도지사실’을 설치해, 시·군 현장과 온라인 창구를 병행 운영함으로써 도민 누구나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목소리를 전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했다.
이 플랫폼은 도청 1층 현장민원실과 함께 포털 내 전용 게시판을 통해 24시간 민원 접수를 가능케 했으며, 접수와 동시에 담당부서 지정, 현장 확인·간담회 추진 등 즉각적 해결 프로세스를 밟도록 설계됐다.
“도민 한 사람의 사연도 놓치지 않는다”...‘사람 중심’ 가치 중시
‘열린도지사실’을 통한 민원 해결 사례들은 단순한 통계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행정 과정에 녹아든 ‘사람 중심’ 가치는, 도민과의 신뢰를 바탕으로 정책 실행 동력이 된다.
경남도 관계자는 “300만이 넘는 도민 개개인이 전하는 작은 목소리에도 귀 기울이는 것이 현장 중심 행정의 핵심”이라며, “앞으로도 ‘열린도지사실’을 통해 도민이 진정 필요로 하는 답을 현장에서 찾고, 체감하는 민원을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3천 건 해법으로 다진 신뢰, 연평균 1천 건 처리로 이어진 실질적 성과
‘열린도지사실’ 개소 이후 지난 3년(2022년 8월~2025년 7월)간 총 3,000여 건의 민원을 처리했으며, 이는 연평균 약 1,000건, 하루 평균 약 0.9건의 현장·비대면 대응으로 이어진 수치다.
경남도 인구(2023년 말 주민등록인구 3,340,470명) 대비 약 0.09%에 해당하는 현장 중심 행정은, 규모와 관계없이 도민 한 명의 삶의 질을 최우선에 두는 ‘도민비서’ 역할을 구현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위기 속 희망으로 전환, 전세사기 피해 지원 · 복지 사각지대 돌봄 · 안전위협 해소
먼저 '전세사기 피해 지원' 사례로, 김해시 전세사기 사건의 피해 주민은 ‘도지사에게 바란다’ 게시판에 극단적 선택을 암시하는 글을 남겼다. 열린도지사실은 즉시 긴급 상담과 신변 보호, 주택금융공사 담보대출 연계를 주선해, 경매 낙찰 방식의 주거 안정 지원을 마무리했다.
'복지 사각지대 돌봄' 사례로는, 진주시 집현면 이장이 제기한 모자(母子) 가구 지원 요청은 현장 확인 후 긴급 돌봄 서비스와 기초·장애인·치매노인 등록 절차를 조율,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며 위기가정의 일상을 회복시켰다.
'안전 위협 해소' 사례에서는, 창원시 동읍 분기점 가로수에 가려진 도로표지판 제보는 즉각적 가로수 정비로 연결돼, 안전사고 위험을 원천 차단했다.
경남도는 향후 더 빠르고 섬세한 ‘도민비서’ 서비스를 통해, 전국 지방정부에 현장·비대면 통합 모델을 제시하며 대한민국 행정 혁신의 새로운 이정표로 기록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