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심 지반침하·범죄·교통사고를 한눈에 감시·예방하는 금천형 안전 네트워크
- 어린이 등 취약계층부터 고독사 방지·자연재해 저감까지...'금천형 안전 모델' 선보여
[한국지방정부신문=김미숙 기자] 서울 금천구(구청장 유성훈)가 도시재난 대응·범죄 예방·취약계층 보호·자연재해 저감 등을 아우르는 '금천형 안전 모델'을 통해, 위험사회 시대에 기초지방정부가 맡아야 할 균형 잡힌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유성훈 금천구청장은 “주민 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며 “다양한 첨단 기술과 포괄적 복지·보험 서비스를 결합해, 주민이 일상에서 안심할 수 있는 금천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위험사회’에 맞선 일상 속 안전 강화
독일 사회학자 울리히 베크가 경고한 ‘위험사회(Risk Society)’는 오늘날 도심의 새로운 위협, 특히 싱크홀·지반침하와 같은 급속한 도시 개발 부작용을 그대로 보여준다.
실제로 서울시는 2022년 3월부터 2025년 3월까지 63건의 싱크홀 사례를 보고해, 지반 안정성에 대한 시민 불안을 증명했다. 이런 흐름 속에서 금천구는 주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안전 금천’을 기초지방정부의 핵심 과제로 내세웠다.
자연재해 대응...폭염 · 집중호우에 맞서는 스마트 인프라
이상기후 시대로 접어들며 폭염과 집중호우가 일상이 된 가운데, 금천구는 지난해 5~6월 스마트형 그늘막과 쿨루프·쿨링포그를 추가 설치해 도심 열섬 현상을 완화했고, 무더위 쉼터 94곳·목욕장 9곳·물놀이장 17곳을 운영해 실질적 피서를 지원했다.
특히 지난달 특허 등록된 ‘국내 최초’ 계곡 수로 스마트 준설 시스템(출원명: 우수집수장치, 특허번호 10‑2345678호)을 통해, 집중호우 시 계곡 수로의 토사를 자동 제거하고 하천 흐름을 원활히 해 홍수 피해를 대폭 줄인다.
지반침하 예방 위한 GPR 탐사 확대
금천구는 2024년까지 관내 주요 도로 484km에 대해 지표투과레이더(Ground‑Penetrating Radar, GPR)로 지하 공동(空洞)을 선제 조사해 127개를 복구 완료했다.
GPR은 빛이 아닌 전파를 이용해 지하 2~3m 심도까지 빈 공간을 감지하는 기술로, 영국과 미국에서는 1970년대부터 교량·도로 유지관리용으로 활용돼 왔다.
올해는 차도 80km·보도 20km 구간으로 탐사 범위를 넓혀, 급격한 지하 개발에 따른 사고 위험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24시간 통합관제로 범죄 · 사고 · 재해 ‘원스톱 대응’
2011년 구축된 ‘U-통합운영센터’는 2021년부터 서울지방경찰청 ‘베스트 관제센터’로 4회 연속 선정된 바 있다. 365일 24시간 CCTV·AI 관제와 소방·경찰·구청 간 신속 연계 체계를 갖추고, 올 상반기만 절도·성범죄·음주운전 등 10건의 현장 검거와 7,368건의 실시간 대응 실적을 기록했다.
이처럼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선별관제는 주민의 ‘작은 위기’까지 놓치지 않는 촘촘한 안전망으로 평가받는다.
취약계층 안전망...어린이부터 고독사 위험군까지
금천구는 어린이보호구역 횡단보도에 인공지능 CCTV 기반 경고 시스템을 설치해, 보행 중인 어린이 감지 시 우회전 차량에 경고음을 전달한다.
취약 어르신과 고독사 위험 가구를 위한 ‘위드유(with U) 프로젝트’는 AI를 활용해 안부 확인이 필요한 세대를 선별, 복지 서비스와 연계해 사회적 고립을 방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