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 인텔리전스 시대, 교통사고 줄이기 위한 자치경찰의 혁신적 발걸음
- 과학적 분석으로 사각지대 해소…주민 참여로 안전 체감도 극대화
[한국지방정부신문=김지수 기자] 대구광역시에서 추진되는 ‘전국 최초’ 데이터 기반 무인단속장비 최적화 연구는, 단순한 장비 확충을 넘어 교통안전을 위한 과학적 정책 수립과 한정된 재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전망이다.
대구광역시 자치경찰위원회(위원장 이중구)가 교통사고·단속 이력 등 실제 현장 데이터를 토대로 무인교통단속장비 설치 위치와 대수를 최적화하는 연구에 착수해, 앞으로 대구시가 지역 맞춤형 과학 치안의 선도 사례로 자리매김할지 주목된다.
교통안전 새 장 여는 ‘전국 첫’ 데이터 기반 단속 전략
이번 사업은 단순히 장비를 늘리는 데서 벗어나, ‘어디에, 얼마나, 언제’ 장비를 배치해야 사고 예방 효과가 가장 큰지를 과학적으로 규명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2024년 한 해 동안 전국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사망자는 2,521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으나 여전히 도로 위 안전체계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최적 설치 위치 찾아라…교통분야 전문가 참여해 예산·효과성 재평가
연구팀은 도로 유형별 교통량, 사고 빈도, 주변 시설물 변화 등 수십여 가지 지표를 종합 분석해 ‘고위험 구간’을 선별한다.
대구시 교통안전·빅데이터 전문가들과 함께 최적 설치 지점과 장비 수를 산정하며, 5년간 연차별 예산 계획까지 함께 수립했다.
특히 기존 장비가 설치된 구간의 단속 건수와 사고 감축 효과를 재평가해, 효율성이 낮은 장비는 다른 취약 구간으로 재배치한다는 방침이다.
도로 구조·교통량 변화 반영한 장비 재배치…사망자 절반 감소 기대
대구시가 공개한 최근 월별 통계를 보면, 올해 6월 한 달간 교통사고 사망자는 4명으로, 전년 동월 8명 대비 50%나 줄어들었다.
이는 자치경찰의 사전 단속 예측·배치가 일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되나, 더 많은 취약 구간을 과학적으로 집어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번 연구가 마무리되는 내년 상반기부터는 이 같은 데이터 기반 배치가 본격 적용돼, 구간별 사망자 수가 절반 가까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이륜차 위주의 민원 지역 우선…주민 의견 반영해 안전 체감도 높인다
특히 동구 봉무 지하차도 등 이륜차 법규 위반이 잦고 주민 민원이 많은 지역을 우선순위에 두고, 무인단속장비를 설치한다.
현장 실태조사와 주민 설명회를 거쳐 얻은 목소리를 장비 배치 계획에 적극 반영함으로써, 교통안전 사각지대를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시민들의 안전 체감도를 높인다는 전략이다.
과거 사례 증명한 '단속장비 효과'…5천여 대 확대로 확인된 사고 감소
이미 1997년 국내에 속도 위반 단속장비가 처음 도입된 이후, 전국적으로 장비 대수가 5,348대로 늘어난 2012년 말까지 도로교통사고 발생 건수와 사망자 수가 현저히 감소한 바 있다.
이 같은 통계는 무인단속장비가 단속 그 자체보다 ‘운전자들의 속도 저감’에 미치는 예방 효과가 크다는 점을 입증한다.
이중구 대구 자치경찰위원장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통사고 위험 지역에 장비를 집중 배치하고, 미흡한 구간은 재배치해 효과적인 자원 활용을 도모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