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5,066㎡ 공공형 복합단지에 482억 원 투입…딸기·토마토 중심 스마트팜부터 청년농 창업까지 대변화 예고

- 중부권 유일 지정…산업화 · 청정농업 · 청년정착 삼박자 맞춘 ‘홍성형 미래농업 모델’ 본격 가동

충남 홍성군(군수 이용록)이 농촌 지역인구의 65세 이상 고령화 비율이 25.7%에 달하는 현실 속에서, 저탄소 유기농업특구를 기반으로 스마트농업을 접목해 ‘청년 유입·정착’과 ‘고부가가치 농업’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야심 찬 계획을 제시했다. (자료=홍성군청)
충남 홍성군(군수 이용록)이 농촌 지역인구의 65세 이상 고령화 비율이 25.7%에 달하는 현실 속에서, '저탄소 유기농업특구'를 기반으로 스마트농업을 접목해 ‘청년 유입·정착’과 ‘고부가가치 농업’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야심 찬 계획을 제시했다. (자료=홍성군청)

[한국지방정부신문=김지수 기자] 충남 홍성군(군수 이용록)이 농촌 지역인구의 65세 이상 고령화 비율이 25.7%에 달하는 현실 속에서, '저탄소 유기농업특구'를 기반으로 스마트농업을 접목해 ‘청년 유입·정착’과 ‘고부가가치 농업’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야심 찬 계획을 제시했다.

홍성군수 이용록은 “저탄소 유기농업특구를 스마트농업 거점으로 발전시켜, 고부가가치와 환경친화성을 동시에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

전국 5개소 중 중부권 유일…미래 농업 든든한 허브로 떠오른 '저탄소 유기농업특구'

농림축산식품부가 「스마트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전국 최초로 지정한 '스마트농업 육성지구' 5곳(전북 남원, 전남 고흥·장성, 경남 거창, 그리고 충남 홍성) 중 중부권에서 유일하게 최종 확정됐다.

‘스마트농업 육성지구’는 「스마트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역단위 스마트팜 기반의 생산, 유통, 교육, R&D, 창업지원 등 전후방 산업을 집적화하는 거점지구로, 농업의 고부가가치화 및 청년농 정착을 목적으로 하는 정부 핵심 전략사업이다.

총 사업비 482억 원(국도비 259억 원 포함)이 투입되는 이 지구는 서부면 광리와 갈산면 동산리 일원 235,066㎡(약 23.5ha)에 걸쳐 2027년까지 조성된다.

그린 · 스마트 융합, 농업 경쟁력 · 지속가능성 강화

이번 지구 지정은 지역 농업의 구조 전환과 산업화 기반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뿐 아니라, 중부권 농업의 새로운 표준 모델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앞으로 홍성군은 단계별 성과 분석을 통해 지방정부·산업체·교육기관 간 협력 체계를 더욱 공고히 하고, ‘홍성형 미래농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끌어갈 전망이다.

이번 지정은 단순히 첨단 장비를 도입하는 수준을 넘어 농업 전반의 생산·유통·교육·R&D·창업지원이 융합된 ‘공공형 복합단지’로서, 미래농업 혁신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스마트팜부터 물류·청년 인큐베이팅까지 482억의 대규모 투자

홍성군은 2024년 예비 지구 선정 이후 전담팀을 꾸려 실시설계를 마쳤으며, 스마트팜 생산시설(딸기·토마토), 공동 유통·물류 거점, 청년농 창업 인큐베이팅 시설 등을 단계별로 구축 중이다.

1단계는 서부면 광리 지역에서 용수 개발과 기반 조성에 집중하고 있으며, 2단계부터는 스마트 센서와 자동화 시스템이 적용된 시설이 본격 가동된다.

홍성군은 특구 내 교육·창업 시설과 산업체 채용 매칭 프로그램을 연계해 학생들이 졸업과 동시에 지역 기업에 취업, 정주로 이어지도록 통합 지원 모델을 완성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한국지방정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