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민생회복 정책보고회’서 6224억원 투입 ‘7+2 소상공인 지원 패키지’ 발표...골목형 상점가’ 광주 전역 확대, 시‧자치구‧유관기관 12곳 협약

- 소비쿠폰·온누리상품권 환급·상생카드 13% 할인 등 상권에 활력...‘상생복합시설 조성 등 지속 가능한 소상공인 생태계 기반 강화

- 강기정 시장 “소비쿠폰 지급, 광주상생카드 할인율 확대, 공공배달앱 할인율 확대...‘7+2 소상공인 지원 패키지’로 이재명 정부와 함께 손에 잡히는 소비진작 신속 시행”

광주광역시가 침체된 골목상권을 살리기 위해 6,224억 원 규모의 ‘7+2 민생회복 정책 패키지’를 발표하며, 소비쿠폰과 상생카드 할인 등 직접적인 소비 유인책과 더불어 중장기적인 인프라 구축까지 포함한 ‘투트랙’ 전략을 내놓으면서 전국적 주목을 받고 있다(사진=조용원 기자/광주시청)
광주광역시가 침체된 골목상권을 살리기 위해 6,224억 원 규모의 ‘7+2 민생회복 정책 패키지’를 발표하며, 소비쿠폰과 상생카드 할인 등 직접적인 소비 유인책과 더불어 중장기적인 인프라 구축까지 포함한 ‘투트랙’ 전략을 내놓으면서 전국적 주목을 받고 있다(사진=조용원 기자/광주시청)

[한국지방정부신문=조용원 기자]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가 민생경제 회복의 전면에 나서며 전국적 주목을 받고 있다.

침체된 골목상권을 살리기 위해 6,224억 원 규모의 ‘7+2 민생회복 정책 패키지’를 발표하며, 소비쿠폰과 상생카드 할인 등 직접적인 소비 유인책과 더불어 중장기적인 인프라 구축까지 포함한 ‘투트랙’ 전략을 내놓았다.

특히 이번 정책은 이재명 정부가 제시하는 내수 중심 성장전략과 맞물려, 지역에서부터 시작되는 경제 회복의 새로운 전형으로 주목받고 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22일 ‘민생회복 정책보고회’에서 “시민의 삶에 피부로 와닿는 민생정책을 속도감 있게 시행하겠다”며, 지역 소상공인을 중심으로 한 골목경제 살리기를 광주의 가장 시급하고도 중요한 과제로 선언했다.

그는 단순한 경기부양이 아닌 ‘사람이 모이고 소비가 순환하는 구조’를 만들어야만 지역이 살아남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단기적 민생 안정과 함께 중장기적인 도시경제의 체질 개선을 동시에 도모하겠다는 전략이며, 특히 중앙정부와의 정책적 보조 속에서 이뤄지는 ‘지방-중앙 간 협업 모델’로서의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광주시와 자치구, 유관기관 등 12개 기관·단체가 ‘7+2 소상공인 지원 패키지’의 성공 추진을 위한 ‘골목형 상점가 광주전역 확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에는 ▲광주 전역의 골목형 상점가 확대와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확대 ▲골목상권 지원단 운영 등 행정적 지원 강화 ▲소비쿠폰 조기 집행 등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적극 협력 등 내용이 담겼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소비쿠폰 지급, 광주상생카드 할인율 확대, 공공배달앱 할인율 확대 등 ‘7+2 소상공인 지원 패키지’로 이재명 정부와 함께 손에 잡히는 소비진작 정책을 신속하게 시행하겠다”고 밝혔다(사진=조용원 기자/광주시청)
강기정 광주시장은 “소비쿠폰 지급, 광주상생카드 할인율 확대, 공공배달앱 할인율 확대 등 ‘7+2 소상공인 지원 패키지’로 이재명 정부와 함께 손에 잡히는 소비진작 정책을 신속하게 시행하겠다”고 밝혔다(사진=조용원 기자/광주시청)

소비에서 시작하는 회복, 골목이 살아야 지역이 산다

이번 ‘7+2 민생회복 정책’은 그 이름처럼 총 9개의 세부 정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단기적으로는 400억 원 규모의 소비쿠폰 지급, 광주상생카드 할인율 13% 확대, 온누리상품권 5% 환급, 공공배달앱 할인쿠폰 확대 발행 등을 통해 시민의 소비 여력을 높이고 지역 내 상권 매출 증대를 유도한다.

특히 상생카드 할인은 기존의 7%에서 13%로 대폭 상향돼, 시민들에게 실질적 체감효과를 줄 수 있는 조치로 평가된다.

동시에 광주시는 ‘골목상권 지원단’을 조직해 행정업무 전반을 밀착 지원하며, 공공기관과 골목상권을 1:1로 매칭해 실제 소비로 이어지는 연결고리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특례보증 1,700억 원도 자금 유동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에게 숨통을 틔워줄 전망이다.

이러한 다층적 소비 진작 정책은 이재명 정부가 강조해 온 내수 중심 성장정책과 직접 맞닿아 있다.

실제로 이재명 대통령은 집권 이후 ‘내수 활력 회복’을 통해 경기침체에 대응하겠다는 기조를 강조해 왔고, 광주의 이번 정책은 지역단위에서 그 방향성을 실현하는 구체적인 실행모델이 되고 있다.

미래를 설계하는 민생정책, 단순한 경기부양을 넘어서

광주시의 민생 회복 정책이 주목받는 이유는 단지 ‘소비 유도’에만 머물지 않기 때문이다.

광주시는 이번 패키지에 150억 원 규모의 소상공인 기반시설 구축과 1,130억 원이 투입될 상생복합시설 조성 계획을 포함시켰다. 이는 단발성 지원을 넘어 지역경제의 구조적 재편을 겨냥한 중장기 전략이다.

특히 상생복합시설은 옛 방직공장 부지를 활용한 대규모 프로젝트로, 소상공인 지원과 문화·관광·소비 기능이 융합된 새로운 복합공간 조성을 통해 지역에 사람과 돈이 모이게 만드는 핵심 인프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런 흐름은 광주시가 추진 중인 도시 미래 프로젝트와도 유기적으로 연계된다.

강 시장은 더현대 광주 복합쇼핑몰 착공, 신세계 광천터미널 개발, 도시철도 2호선 전면 개통, AI 중심 초거대 컴퓨팅센터 유치 등과 같은 대형 사업들과 민생경제 정책이 함께 굴러가야 지역의 지속가능한 성장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골목상권 회복은 단순한 생계 문제를 넘어서 도시 매력도를 높이고 인구와 기업을 유치하는 ‘경제 선순환 구조’의 시작점이라는 것이다.

광주시의 이번 ‘7+2 패키지’는 단순한 지역 경제정책을 넘어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가 연대해 경기침체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지역형 경제회복 모델’로 의미를 가진다.(사진=조용원 기자/광주시청)
광주시의 이번 ‘7+2 패키지’는 단순한 지역 경제정책을 넘어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가 연대해 경기침체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지역형 경제회복 모델’로 의미를 가진다.(사진=조용원 기자/광주시청)

중앙정부 연계 통한 모델 구축, 지방정부발 성장의 청사진

광주시의 이번 ‘7+2 패키지’는 단순한 지역 경제정책을 넘어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가 연대해 경기침체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지역형 경제회복 모델’로 의미를 가진다.

특히 이재명 정부가 강조하는 ‘지방이 주도하는 성장’, ‘민생 우선 경제정책’과 맥을 같이하며 광주가 그 대표 사례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셈이다.

이는 단지 정책적 유사성을 넘어 실행 측면에서도 연결되어 있다. 윤석열 정부 시절 중단되었던 상생카드 시비 지원이 이재병 정부 하에서는 다시 강화되었고, 정부의 내수지원 정책에 발맞춰 광주시가 선도적으로 보완정책을 마련한 점은 향후 다른 지자체의 벤치마크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번 보고회에서 광주시와 자치구, 공공기관, 소상공인 단체 등 총 12개 기관이 MOU를 체결하며 협업 체계를 강화한 점도 눈에 띈다.

단순한 예산 투입을 넘어, 제도와 실행의 주체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춘 것은 한국형 지역경제 회복모델로서 중요한 포인트다.

광주시는 지난해에도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 방침에 반대하며 전국 최초로 의무휴업 원칙을 유지한 바 있다.

이는 지역 골목상권을 단순한 유통 질서의 하위 개념이 아닌, 지역경제 생존의 중심으로 바라보는 시정 철학의 연장선이다.

강기정 시장은 “광주의 회복은 골목에서 시작되며, 사람과 돈이 머무는 도시가 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단기적 소비촉진부터 장기적 인프라 구축, 중앙정부 연계 전략까지 종합적으로 포괄하는 이번 ‘7+2 민생회복 정책’은 광주가 선택한 또 하나의 반격 전략이자, 한국형 지역경제 회복의 하나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평가다.

궁극적으로 광주는 지금, 단순한 위기 대응을 넘어 미래형 도시경제로의 전환점에 서 있다. 그리고 그 시작은 다름 아닌 ‘골목’에서 이뤄지고 있다는 점이 주목되고 있다.

저작권자 © 한국지방정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