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첫 배터리 내장형 인공지능 흡연감시 시스템, 설치·이동 자유로워 언제 어디서나 '금연' 독려

- AI가 감지하고 음성으로 경고하는 사각형 안내판, 공공장소 흡연민원 해결 위한 민관협력 모델 선보여

 서초구는 전국 지방정부 중 최초로 배터리 내장형 ‘서초 AI 흡연 제로’를 도입하며 금연 환경 조성에 혁신적 전환점을 마련했다. (사진=김미숙 기자/서초구청)
서초구는 전국 지방정부 중 최초로 배터리 내장형 ‘서초 AI 흡연 제로’를 도입하며 금연 환경 조성에 혁신적 전환점을 마련했다. (사진=김미숙 기자/서초구청)

[한국지방정부신문=김미숙 기자] 서울 서초구(구청장 전성수)가 설치 자유도가 높고 이동이 자유로운 배터리 내장형 소형 안내판 'AI 흡연 제로'를, 전기선 연결이나 고정 구조물 없이도 원하는 흡연 다발지역에 자유롭게 설치함으로써, 주민 건강권 보장과 공공서비스 혁신을 동시에 선도한다

전성수 서초구청장은 “이번 ‘서초 AI 흡연 제로’ 사업이 무분별한 흡연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주민들의 간접흡연 피해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금연 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서초구는 전국 지방정부 중 최초로 배터리 내장형 ‘서초 AI 흡연 제로’를 도입하며 금연 환경 조성에 혁신적 전환점을 마련했다.

AI 기반 흡연동작 인식 기술로 즉각적 대응, 주민 건강권 확보에 기여

기존 대규모 예산을 투입한 고정식 간접흡연 방지 시스템과 달리, 서초구의 신모델은 가로 40cm, 세로 18cm, 높이 28cm의 소형 사각 안내판 안에 배터리를 내장해 설치와 이동이 자유롭다.

‘서초 AI 흡연 제로’ 안내판에는 상하 50도, 좌우 60도 각도 내에서 흡연동작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카메라와 AI가 탑재돼 있다.

흡연자가 감지되면 즉시 “우리의 소중한 가족들이 힘들어요, 흡연을 멈춰주세요” 등의 장소 맞춤형 안내 음성이 재생된다.

이를 통해 단속원 인력 부재 시간대에도 자동으로 금연 경고를 수행하며, 주민들의 간접흡연 피해를 최소화하고 공공 안전망 역할을 수행한다.

한정된 금연단속 인력의 공백을 메우는 실용적 대안, 야간·새벽 불법흡연 대응력 강화

서초구에는 14명의 금연 단속원이 배치돼 서울 자치구 중 최대 규모임에도, 업무 시간 외 야간과 새벽 시간대에는 실질적인 단속 공백이 발생해 왔다.

특히 고속버스터미널과 주요 업무시설 인근에서 발생하는 무분별한 야간 흡연은 상시 단속이 어려운 현실이었다.

AI 안내판은 이러한 한계를 보완해 24시간 연중무휴로 자율 작동하고, 자동 감지와 안내 방송으로 불법 흡연 억제 효과를 높인다.

설치 유연성 극대화, 매립·결착·부착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공간 제약 완전 해소

서초구의 AI 안내판은 매립형, 결착형, 부착형 설치 방식을 모두 지원해 보행자 통로 상단, 화단, 경계석 등 다양한 환경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노란색과 검정색 고대비 디자인은 시선을 곧바로 끌어, 안내 메시지의 전달력을 극대화한다.

또한, 안내판 소형화로 보행자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설치 장소 이동이 간편해, 실시간 현장 여건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응 가능하다.

시범 운영 성과와 단계적 확대 계획, 3개소에서 5개소로 빠르게 확장

현재 서초2동 장미아파트 앞, 고속터미널역 3번 출구 보행자통로, 서초센트럴아이파크 앞 등 3개소에 안내판이 설치돼 시범 운영 중이다.

구는 7월 중 추가로 두 곳을 선정해 총 5개소로 확대할 예정이며, 하반기 중 민원 발생 통계와 주민 피드백을 분석한 뒤 시스템 업그레이드와 설치 지역 선택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서초 AI 흡연 제로’ 사업은 2023년 서초구 AIoT 스마트시티 메이커톤 대회에서 주민 아이디어로 제안된 ‘금연경고 시스템’이 특별상을 받으며 출발했다. 이후 구는 주민, 기술 전문가, 디자인 팀이 협업해 AI 딥러닝 연구와 안내판 프로토타입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 실제 운영 가능한 완성도 높은 모델로 진화시켰다.

안내판 설치를 원하는 건물주, 공동주택 입주자, 흡연민원 주민 등은 서초구보건소 건강정책과 금연관리팀(☎02-2155-8176)으로 신청할 수 있다. 구는 민원 건수, 설치 지역 흡연 발생률 변동 등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치 여부를 심층 검토하며, 연말까지 운영 효과 보고회를 열어 주민 의견을 수렴하고 정책 보완을 이어갈 방침이다.

 

저작권자 © 한국지방정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