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율주행·교통약자 이동권 혁신 모델로 자리매김

- 스마트 모빌리티로 ITS 세계총회 기술 시연 무대 확보

김홍규 강릉시장은 “전국 지방정부 최초 벽지 노선 자율주행 마실버스 도입으로 이동 약자의 일상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시민 삶의 질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전하며, 정책의 인간적 의의를 강조했다. (사진=김미숙 기자/강릉시청)
김홍규 강릉시장은 “전국 지방정부 최초 벽지 노선 자율주행 마실버스 도입으로 이동 약자의 일상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시민 삶의 질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전하며, 정책의 인간적 의의를 강조했다. (사진=김미숙 기자/강릉시청)

[한국지방정부신문=김미숙 기자] 강원 강릉시(시장 김홍규)가 대중교통 접근성이 떨어지는 마을 주민에게 이동권을 보장하고, 스마트 모빌리티 정책의 표준 모델을 선도하는 행보로 전국적 관심을 끌고 있다.

이와 관련해 강릉시는 7월 26일부터 연곡면 벽지 노선에 자율주행 ‘마실버스’를 도입함으로써, 전국 지방정부 가운데 처음으로 교통 인프라 소외 지역에 자율주행 서비스를 적용한다.

이 같은 선제적 시도는 대중교통 접근성이 떨어지는 마을 주민에게 이동권을 보장함은 물론, 향후 스마트 모빌리티 정책의 표준 모델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한 사람도 놓치지 않겠다”는 모빌리티 복지의 새로운 기조 강조

김홍규 강릉시장은 “전국 지방정부 최초 벽지 노선 자율주행 마실버스 도입으로 이동 약자의 일상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시민 삶의 질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전하며, 정책의 인간적 의의를 강조했다.

특히 강릉시는 투명한 재원 확보, 지방정부-민간 협업 모델, 지역 맞춤형 안전성 검증, 다단계 평가체계 구축, 주민 의견 반영 등 5가지 성공 요인을 명확히 규정함으로써 여타 지방정부가 유사 사업 추진 시 참고할 수 있는 로드맵을 제시했다.

자율주행 마실버스는 연곡면사무소부터 삼산보건진료소까지 49개 정류장을 잇는 편도 13km 구간을 하루 6회 운행하며, 최대 12명을 수송한다. 이용료는 전 구간 무료로 운영되어 교통비 부담을 완전히 해소했다. 

해당 구간은 2026년 10월 강릉에서 열리는 ‘ITS(지능형 교통 시스템,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세계총회’ 기간 중 자율주행 버스 기술 시연 무대로 활용돼 국내외 전문가와 참가자에게 강릉의 스마트 교통 역량을 선보일 예정이다.

강원 강릉시(시장 김홍규)가 대중교통 접근성이 떨어지는 마을 주민에게 이동권을 보장하고, 스마트 모빌리티 정책의 표준 모델을 선도하는 행보로 전국적 관심을 끌고 있다. (사진=김미숙 기자/강릉시청)

본격 운행 전 4개월 시범 운행, 안전성 검증과 주민 신뢰 구축

올해 3월 임시운행허가를 취득한 뒤 지난 4개월 동안 시범 운행을 거쳐 안전성을 면밀히 검토했다. 이 과정에서 고령자와 교통약자 의견 수렴 등을 통해 실착석 안정성, 탑승 편의성, 긴급 대응 프로세스를 보완했다.

강릉시는 지난해 3월 국토교통부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서비스 지원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돼 국비 4억 원을 확보했고, 지역 운수업체 동해상사고속(주)과 자율주행 전문기업 SUM이 손잡아 성공적인 사업 추진 기반을 닦았다. 

강릉시는 운행 초기의 이용자 만족도 조사, 중장기적 이용률·정류장별 탑승 수요 빅데이터 분석, 사회적 경제적 파급 효과 평가 등 다층적 평가지표를 마련해 지속 운영의 성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할 계획이다.

교통 소외 해소, 지역 공동체 활성화...자율주행 기술과 복지 정책 융합 시너지 기대

교통 인프라가 미흡했던 벽지 지역 주민의 외부 접근성이 개선되면, 보건소·상점·문화시설 등 일상적 서비스 이용이 확대되고, 승인(認同) 기반의 공동체 활동도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지역 경제 선순환과 고령층 사회적 고립 완화로 이어질 전망이다.

자율주행 모빌리티가 단순 기술 시연을 넘어 주민 복지와 결합될 때, 교통 약자의 이동권 강화라는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며, 향후 다양한 공공 서비스 차량(의료·택배 등)에도 확대 적용될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강릉시의 이 같은 선도적 조치는 ‘전국 최초’라는 타이틀에 걸맞게 검증된 정책과 기술이 결합된 모범 사례로, 교통 복지와 스마트 시티 전략이 결합된 성공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저작권자 © 한국지방정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