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냉매관리 종합계획’ 출범, 안전 · 효율 동시 확보 로드맵 완성
- 공공부문 전역 냉매 전주기 디지털 관리로 온실가스 획기적 감축 발판 마련
[한국지방정부신문=이상금 기자] 충남도(도지사 김태흠)가 정부 계획(2050년)보다 5년 앞선 2045년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냉난방·냉동용 HFCs(수소불화탄소) 냉매 전 과정을 디지털화해 관리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 저감이라는 중대한 의미를 구현한다.
이와 관련해 충남도는 25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한국환경공단과 손잡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까지 아우르는 ‘2025 냉매관리 종합계획’을 본격 시행한다.
충남도의 ‘2025 냉매관리 종합계획’은 전국 지방정부 중 최초로 읍·면·동까지 디지털 냉매 전과정을 통합 관리하는 모범 사례다.
이 같은 선제적 전략은 앞으로 민간·산업 부문 냉매 관리로도 확산되어, 지역 사회는 물론 국가 차원의 기후 위기 대응 역량을 크게 강화할 전망이다.
'냉매'는 냉난방기 및 냉동고 등에 주로 사용되는 물질로, 이산화탄소보다 최대 1만 2400배 이상 높은 지구온난화지수를 갖는 수소불화탄소(HFCs)가 주로 사용돼 탄소중립 실현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또한, 수소불화탄소(HFCs)는 이산화탄소(CO₂) 대비 지구온난화지수(GWP)가 771에서 최대 12,400에 달하는 초고위력 온실가스로, IPCC 6차 보고서에도 주요 감축 과제로 지정되어 있다.
충남도는 이런 물질이 무분별하게 누출될 경우 기후 위기를 더욱 가속할 수 있다고 보고, 관리 사각지대가 없도록 전국 광역지방정부 중 유일하게 읍·면·동 단위까지 세밀히 관리 대상으로 삼았다.
도는 협약에 따라 △20RT 미만 냉매사용기기 관리자 지정 △냉매관리시스템 도입 및 냉매사용기기 QR코드 부착 △정기 및 수시 점검을 통한 냉매 누출 방지 △연 1회 전 직원 교육으로 냉매 누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해, 관리 사각지대를 완전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전체 공공기관과 읍면동 기기에 QR코드를 부착해 냉매 충전·누출 이력을 실시간 기록·분석하고, 매년 1회 전 직원 대상 교육 및 수시 점검 체계를 운영해 냉매 누출을 원천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협약식 후 진행된 교육에서는 냉매관리제도 개요, 충남도 실천 방안, 향후 추진 일정 등이 상세히 공유됐다.
냉매관리 교육에는 도·시군·공공기관 실무자 220여 명이 참여하여, 냉매관리 제도 개요와 디지털 시스템 사용법, 위기상황 대응 시나리오 등을 집중 학습했다.
현장 참가자들은 “디지털 전환으로 업무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높아졌으며, 시스템 개선 요구가 신속히 반영되어 정책 지속가능성이 강화됐다”, “디지털 전환을 통한 관리 효율성 향상뿐 아니라, 사용자 요구 기반 기능 개선까지 담보된 시스템”이라고 평가하며 정책의 지속가능성을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도는 이후에도 분기별 사용자 간담회와 시스템 업데이트를 통해 실무자의 목소리를 반영할 계획이다.
김영명 도 환경산림국장은 “공단에서 지원하는 냉매관리시스템을 사용하면 냉매 관리의 효율성과 실효성 2가지를 동시에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 냉매 뿐만 아니라 모든 온실가스 감축 분야에서 적극행정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충남도가 이번 계획으로 전국 광역 지방정부 중 처음 읍면동까지 체계적 냉매 관리를 실행함에 따라, 타 지방정부가 벤치마킹할 수 있는 모델로 떠올랐다.
특히 정부 계획보다 앞선 ‘2045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디지털 기반 온실가스 관리 체계를 일찍이 갖춘 점은 기후위기 대응의 새로운 이정표로 평가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