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문 결과가 입증한 정책 효과성 중심축 '인구 증가 필수 요소' 자리매김”

- 응답자 84%, 인구증가 기여 평가 · 98.2%, 지역정착 유지로 지속가능성 입증

대전광역시(시장 이장우)가 결혼장려를 위한 정책 ‘대전 청년부부 결혼장려금’ 제도가 실질적 도움이 증명되며, 인구 구조 변화 견인과 정책 지속성 확보의 전략적인 정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자료=대전시청)
대전광역시(시장 이장우)가 결혼장려를 위한 정책 ‘대전 청년부부 결혼장려금’ 제도가 실질적 도움이 증명되며, 인구 구조 변화 견인과 정책 지속성 확보의 전략적인 정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자료=대전시청)

[한국지방정부신문=이상금 기자] 대전광역시(시장 이장우)가 결혼장려를 위한 정책 ‘대전 청년부부 결혼장려금’ 제도가 실질적 도움이 증명되며, 인구 구조 변화 견인과 정책 지속성 확보의 전략적인 정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 청년부부 결혼장려금’은 18세에서 39세 사이의 초혼 청년이 대전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혼인신고일을 포함해 신청일까지 6개월 이상 계속 거주한 경우 1인당 250만 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혼인신고일 기준 1년 이내에 신청해야 한다.

2024년에는 10,400여 명이 장려금을 지원받았으며 올해도 5월 기준 혼인율이 전년 대비 26% 증가해, 연말까지 약 13,000명이 지원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대전시가 추진한 ‘청년부부 결혼장려금 지원사업’은 시행 6개월 만에 수혜자 1,0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96.0%가 “결혼 이후 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하며 정책의 실효성을 명확히 입증했다.

이 중 60.1%가 “매우 도움이 된다”고 응답해 경제적 부담 완화가 실제 생활 안정으로 이어진 점이 강조됐다.

‘대전 청년부부 결혼장려금’은 18세에서 39세 사이의 초혼 청년이 대전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혼인신고일을 포함해 신청일까지 6개월 이상 계속 거주한 경우 1인당 250만 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혼인신고일 기준 1년 이내에 신청해야 한다.

여론조사 결과 장려금은 가전·가구 구입에 26.4%, 출산·육아 준비에 25.5%, 결혼비용으로 22.0%, 주거마련으로 14.4%가 사용돼, 결혼 초기 가장 절실한 생계비 부담을 직접 완화하는 데 중점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정책이 대상층의 실제 수요와 밀착된 점은 지원의 설계 단계에서부터 민관 협업과 데이터 기반 수요조사를 반영한 결과로 평가된다.

응답자 중 84.1%는 이 사업이 대전시 인구 증가에 기여했다고 답했으며, 수혜자의 98.2%가 2025년 6월 기준 여전히 대전시에 거주 중인 것으로 조사돼 지역정착 효과가 뚜렷하게 확인됐다.

2024년 10월 사업 시작 이후 누적 14,717명이 혜택을 받았으며, 대전시는 혼인율 증가세(2025년 5월 기준 전년 대비 26% 상승)와 연계해 100억 원 추가 예산을 확보해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로써, 대전시가 추진 중인 ‘청년부부 결혼장려금 지원사업’이 청년의 실질적인 결혼 동기 부여와 안정적 생활 기반 마련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고현덕 대전시 교육정책전략국장은 “높은 시민 만족도와 인구 변화 효과를 바탕으로 정책 개선을 지속해 청년 부부의 결혼 동기를 강화하고 지역 정착을 유도하겠다”고 전해, 청년층 결혼 지원이 지역사회 활성화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잡았음을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지방정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