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간과 공공의 ‘첫 합작’이 만든 1,011억원 규모 모(母)펀드, 3년 내 1,500억원대 자(子)펀드 조성 목표로 도내 스타트업에 직접적인 성장자금 투입 약속

- 중앙정부의 지방전략과 기업계·금융권의 참여가 맞물린 ‘광역 모펀드’ 성공 모델, 향후 지역 투자 불균형 해소의 시험대 될 전망

충남도(도지사 김태흠)가 비수도권에서 민간 자본이 주도하는 ‘광역 모펀드’을 출범시켜, 단순한 자금 조달을 넘어 지역 혁신 생태계의 구조적 전환 가능성을 예고했다.  (사진=김기문 기자/충남도청)
충남도(도지사 김태흠)가 비수도권에서 민간 자본이 주도하는 ‘광역 모펀드’을 출범시켜, 단순한 자금 조달을 넘어 지역 혁신 생태계의 구조적 전환 가능성을 예고했다.  (사진=김기문 기자/충남도청)

[한국지방정부신문=김기문 기자] 충남도(도지사 김태흠)가 비수도권에서 민간 자본이 주도하는 ‘광역 모펀드’을 출범시켜, 단순한 자금 조달을 넘어 지역 혁신 생태계의 구조적 전환 가능성을 예고했다. 

충청남도가 20일 소노벨 천안에서 결성한 ‘충남 기업성장 벤처펀드’는 비수도권에서 민간기관이 참여한 광역 모(母)펀드의 첫 사례로 기록됐다.

이 점이 의미하는 바는 명확하다. 단순히 규모의 확장을 넘어서 중앙-지방-민간이 결집해 지역 기업에 장기적·정책적 연계가 가능한 자금 채널을 열었다는 점에서, 기존 수도권 중심의 투자 관행을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이 펀드는 창업·성장 단계 기업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행 가능한 자금’과 정책적 연계를 병행할 준비가 되어 있다. 

김태흠 충남도지사는 “충남 기업성장 벤처펀드는 비수도권 최초 광역 모펀드”라며 “이 펀드를 통해 민간의 자본이 유입되고, 도에서 추진하는 정책과 시너지를 내면, 충남에서도 유니콘이 나오는 것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이어 “충남은 비수도권 경제 규모 1위에 만족하지 않고, 한국판 실리콘밸리인 베이밸리를 통해 ‘벤처 천국’을 만들어 낼 것”이라며 “이를 위해 2028년까지 벤처 펀드를 1조 규모로 확대하고, 천안·아산·예산을 중심으로 1300여 개의 창업 공간도 확보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김태흠 충남도지사는 “충남 기업성장 벤처펀드는 비수도권 최초 광역 모펀드”라며 “이 펀드를 통해 민간의 자본이 유입되고, 도에서 추진하는 정책과 시너지를 내면, 충남에서도 유니콘이 나오는 것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진=김기문 기자/충남도청)
김태흠 충남도지사는 “충남 기업성장 벤처펀드는 비수도권 최초 광역 모펀드”라며 “이 펀드를 통해 민간의 자본이 유입되고, 도에서 추진하는 정책과 시너지를 내면, 충남에서도 유니콘이 나오는 것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진=김기문 기자/충남도청)

충남 기업성장 벤처펀드는 상징적 의미가 크다. 비수도권에서 민간과 공공이 함께 광역 규모의 모펀드를 조성했다는 사실 자체가 중앙-지방 협력 모델의 전환을 시사한다.

자펀드의 전문성, 지역 스타트업의 자금 흡수와 성장 궤도 진입, 창업공간과 인재 유입 등 실질적 성과는 이제부터 판가름 난다.

충남도와 참여 기관들이 앞으로 자펀드 운용사 선정, 투자 집행의 우선순위 설정, 지역 내 인프라 확충 등 실무적 과제를 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따라 ‘유니콘을 배출하는 지방 모델’이 될지, 단발성 결성에 머물지 여부가 결정될 것이다. 이번 결성은 그 가능성의 첫 걸음으로 평가할 만하다.

모펀드의 결성 규모는 1,011억 원으로 확정되었고, 구성은 한국모태펀드(600억 원)와 충청남도·금융기관·민간기업(합계 400억 원), 그리고 한국벤처투자(11억 원)의 출자로 이뤄졌다.

모펀드 운용은 한국벤처투자가 맡고, 이후 자펀드(子펀드)는 공모를 통해 운용사가 선정되며 향후 3년간 1,500억 원 이상의 자펀드가 조성되고 그중 600억 원 이상이 도내 창업·벤처에 직접 투자될 계획이다.

이러한 구조는 공적 재원(모태펀드)을 ‘레버리지’ 삼아 지방의 민간 출자를 끌어들이는 설계로, 향후 자펀드 운영 역량에 따라 자금의 지역 환류 효과가 결정될 전망이다. 

이번 결성은 중소벤처기업부가 추진해온 ‘비수도권 전용 지역 모펀드’ 공모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해부터 제기되어 온 벤처투자 지역 불균형 문제를 정책 차원에서 바로잡기 위한 실행 조치와 맞닿아 있다.

대한상공회의소와 업계 보고서는 비수도권에 소재한 벤처기업 비중은 상당하지만 실제 벤처투자 비중은 낮은 편중 현상이 지속된다고 지적해 왔고, 정부는 이러한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해 지방 전용 펀드의 설계·인센티브를 마련해 왔다.

모펀드의 결성 규모는 1,011억 원으로 확정되었고, 구성은 한국모태펀드(600억 원)와 충청남도·금융기관·민간기업(합계 400억 원), 그리고 한국벤처투자(11억 원)의 출자로 이뤄졌다. (사진=김기문 기자/충남도청)
모펀드의 결성 규모는 1,011억 원으로 확정되었고, 구성은 한국모태펀드(600억 원)와 충청남도·금융기관·민간기업(합계 400억 원), 그리고 한국벤처투자(11억 원)의 출자로 이뤄졌다. (사진=김기문 기자/충남도청)

충남의 사례는 중앙정책(지방 전용 모펀드)과 지방정부·지역 금융·민간의 참여 의지가 결합했을 때 ‘현장에서 작동하는 자금흐름’을 만들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제도 설계상 민간 참여 유인을 유지하고 자펀드 운용사의 전문성 확보 등 후속과제가 남아 있다. 

중소벤처기업연구원과 학계에서는 이번 같은 지역 모펀드가 양적 자금 공급뿐 아니라 ‘질적 생태계 강화’로 이어지려면 추가적 조건이 필요하다고 평가한다.

관련 전문가들은 초기기업(창업 0~3년)에 대한 지속적 지원, 지역 내 스타트업 성장단계별 연계 인프라(인재, 보육공간, R&D, 대기업·산단과의 협력) 구축, 그리고 자펀드 운용사의 지역 전문성 강화 등이 요구된다는 의견을 냈다.

충남도는 이미 지금까지 약 4,914억 원 규모의 벤처 투자 펀드를 조성해 왔고, 이번 모펀드를 포함해 2028년까지 1조 원 규모로 펀드 풀을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는 자금량 측면에서 의미 있는 목표이나, 전문가들은 “자금의 질(투자 타이밍·투자 대상·후속지원)”이 병행될 때 지역 내 ‘자생적 혁신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질 수 있다고 조언한다.

충남이 제시한 ‘베이밸리(천안·아산 중심)의 벤처 생태계 고도화’ 계획은 이러한 조건을 얼마나 충족시키느냐가 성공의 관건이 될 것이다. 

한편, 결성식에는 김태흠 충남지사, 중소벤처기업부의 노용석 차관, 한국벤처투자 이대희 대표 등 정부·운용·금융권 인사와 지역기업 대표를 포함해 약 500여 명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한국지방정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