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차 산업 기술을 일상으로 끌어들였다...스마트로봇존으로 주민 편의·환경관리 동시 개선
- 규제·지원 토대 위에서 ‘현장 상용화’에 착수...민·관 협업으로 '시험→확대' 새 모델 제시
[한국 지방정부신문=김기문 기자] 서울 양천구(구청장 이기재)가 공원 내에 전국 최초로 재활용품 수거 및 순찰 기능을 하는 로봇 ‘개미’를 도입운영하고 있는 데 이어, 이달부터 자율주행 배달로봇 ‘양천누리온’을 활용한 식음료 배달 서비스를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이기재 양천구청장은 “4차 산업혁명 기술 고도화로 로봇이 음식을 배달하고, 재활용품을 수거하는 시대가 열렸다”면서 주민이 체감하고 공감하는 스마트 도시 구현을 목표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공원 기반의 ‘스마트로봇존’ 실험은 기술·정책·민간 플랫폼의 협업이 현실의 생활 편의를 어떻게 바꾸는지 보여주는 가시적 사례다.
먼저 자율주행 배달로봇 ‘양천누리온’ 서비스는 주민들이 앱으로 주문하면 로봇이 매장에서 음료를 수령해 공원 내 지정된 수령지점까지 배달해 주는 방식으로, 배달비는 무료이며 최소주문금액도 없어 커피 한 잔 주문도 가능하다.
평균 배달 소요 시간은 10~20분 내외, 로봇 한 대가 최대 음료 9잔까지 운반할 수 있다. 이러한 운영 조건은 공원형·단면적 서비스에 특화된 ‘현장 상용화’ 시나리오의 전형을 보여준다.
일상 '로봇의 상용화'...기술·인프라의 결합, 스마트로봇존과 로컬 상권 연계의 현실화
양천구의 이번 사업은 ‘스마트로봇존’ 조성의 일환으로, 인공지능(AI)과 자율주행 등 첨단 ICT를 공원 환경에 적용해 생활 편의를 증진하려는 시도다.
특히 이 사업은 2024년 서울경제진흥원이 주관한 ‘로봇 기술사업화 지원사업’ 공모에 선정되어 추진된 것으로, 지방정부 주도형 실증과 민간 서비스(앱·가맹점) 연계가 결합된 모델이다.
구는 공원 주변 상권과 연계해 지난 3월부터 배달존 인프라를 구축했고 초기 가맹점 16곳을 확보해 운영을 시작했다.
주문·수령부터 로봇 잠금해제 방식의 수령까지 서비스 흐름은 이미 상용 앱 생태계에 맞춰 설계돼 있으며, 로봇 배달을 연결하는 플랫폼으로는 ‘로보이츠(ROBOEATS)’와 같은 전용 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프라·플랫폼 결합은 제한된 공간에서의 상용화 성공 가능성을 높여준다.
‘재활용품 수거·순찰 로봇 개미’ 선도 도입...환경관리와 순찰의 결합
양천구는 이번 배달로봇 도입 이전에 공원 내에 전국 최초로 재활용품 수거 및 순찰 기능을 하는 로봇 ‘개미’를 도입해 운영해 왔다.
주민들은 공원 곳곳에 배치된 QR코드를 통해 개미를 호출하면 로봇이 자율주행으로 이동해 플라스틱·캔·종이류를 수거하고, 야간에는 지정된 순찰 경로를 따라 환경을 실시간 모니터링한다.
양천구의 이 같은 접근은 ‘공간 단위(공원)에서의 로봇 다기능화’를 보여주는 사례로, 배달·청소·순찰이라는 서로 다른 서비스가 동일한 로봇·플랫폼·운영체계 안에서 융합될 가능성을 열어둔다. 이러한 융합 모델은 주민 체감형 스마트시티 구현의 실제 사례로 주목된다.
양천구 ‘공원 기반’ 모델, 합리적이라는 평가...‘지역형 로봇 서비스 모델’ 확산 기대
산학계와 업계 전문가들은 ‘로봇 기술 자체는 한정된 조건에서 일상 서비스로 활용할 만큼 성숙해졌다’고 진단한다.
실제로 국내 로봇 기업들은 규제 샌드박스와 법·제도 정비 속에서 실외 자율주행 로봇의 실증과 상용화 준비를 진전시켜 왔다.
일부 전문가는 대규모·복잡한 도시 환경보다 공원·단지·캠퍼스처럼 경계가 분명한 공간에서의 상용화가 우선 성공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으며, 이는 양천구의 ‘공원 기반’ 모델이 합리적이라는 평가로 이어진다.
한편 업계에서는 최근 지능형로봇 관련 법·제도 정비가 진행되며 실외 자율주행 로봇의 확산 여건이 좋아졌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이러한 제도적 토대와 지방정부의 실증 지원(공모 선정 등)이 결합되면 지역 단위로 확장 가능한 ‘지역형 로봇 서비스 모델’이 빠르게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