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하굣길에 ‘실시간 음성통화·영상전송’ 결합...위급상황 대응의 시간 격차 줄이는 인프라적 전환
- 바닥신호등·음성안내 등 교통안전물 보강과 주민 소통, ‘현장 중심’ 안전관리 모델 제시
[한국지방정부신문=이상금 기자] 대전 동구(구청장 박희조)가 15일 판암초·가양초 일원 어린이보호구역에서 진행한 현장점검과 시연은 단순한 시설 설치를 넘어 ‘현장 대응 속도’를 실질적으로 끌어올리는 장치의 도입 의미를 보여줬다.
이날 판암초에서는 전국 처음으로 도입된 ‘큐브형 비상벨’의 실제 작동 시연이 이뤄졌고, 학부모와 학교 관계자들이 직접 버튼을 눌러 LED 안내판 및 비상벨 작동, 관제센터와의 양방향 통화 및 현장 영상 전송 기능을 확인했다.
동구는 관내 9개 초등학교 스쿨존에 고화질 CCTV 37대와 함께 큐브형 비상벨을 설치했으며, 이번 시연은 그 성능을 주민들이 직접 체감하도록 한 첫 사례였다.
박희조 대전 동구청장은 “어린이 안전은 최우선 과제”라며 안전시설 지속 확충과 철저한 사후 관리를 약속했다. 주민과 학부모들은 현장 시연을 통해 기술의 실효성을 체감했고, 당국에는 안정적 운영을 위한 후속 조치 마련을 요구했다.
대전 동구의 ‘큐브형 비상벨’ 도입과 스쿨존 통합 개선은 기술적 진일보와 더불어 주민 신뢰를 얻기 위한 ‘실증형 행정’의 전형을 보여준다.
진정한 성공은 ‘설치’가 아니라 ‘지속적인 운영·연계·평가’에서 판가름날 것이다. 이번 시연은 그 시작점으로서 의미가 뚜렷하며, 향후 운영 데이터와 경찰·교육기관의 연계 실적이 공개될 경우 지역 안전정책의 확장 가능성을 보다 명확히 검증할 수 있을 것이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은 법·제도적으로 초등학교 정문을 중심으로 통상 300m 이내 도로에 지정되며, 제한속도는 통상 시속 30km로 규정되어 교통안전이 우선 적용되는 구역이다.
이런 제도적 배경 위에서 디지털 안내판, 바닥신호등, 음성안내 보조장치, CCTV 등 물리적·전자적 안전장비의 조합은 운전자 제어와 사고 예방에 중요한 보완책으로 평가된다.
학술 연구들은 디지털 기반 표지(플래시 표시 등)와 CCTV·모니터링 체계가 운전자의 감속 행동을 유도하고 스쿨존 내 위험 상황의 조기 발견에 기여한다고 보고하며, 이는 동구가 이번에 선택한 기술적 조합의 근거가 된다.
가양초 일원에서는 주민 건의 청취를 겸한 소통간담회가 열렸고, 동구가 지난달 말 준공한 교통안전개선 사업 현장도 함께 점검됐다.
개선 사업에는 바닥신호등 5개소, 음성안내보조장치 10대, 횡단보도 신규 설치 3개소, 황색 횡단보도 변경 7개소 등이 포함돼 있어 시각·청각·도로구조 측면에서 통합적 개선이 이뤄졌다.
현장에 참여한 학부모들은 최근 아동 대상 범죄 소식으로 인해 등하굣길 불안감이 높았던 만큼, ‘위급상황을 알리고 영상으로 상황을 전송할 수 있는’ 장비의 설치가 안심 요소로 작용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 같은 주민 체감은 시설 설치와 더불어 관제-경찰 연계, 주민 참여형 운영이 병행될 때 실효성이 높아진다는 점을 시사한다.
교통안전 전문가들은 비상벨·CCTV·디지털 표지 같은 기술적 장비 도입을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실제 사고 감소로 이어지려면 장비 설치뿐 아니라 상시 모니터링 체계, 신속한 경찰 연계, 단속 및 주민 인식 개선이 병행돼야 한다고 권고했다.
대전 동구의 이번 조치는 ‘현장 검증’을 통해 기술의 실효성을 주민과 함께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장기적 안전 확보를 위해선 △관제센터-경찰-학교 간 훈련 및 대응 프로토콜 마련 △장비의 정기 점검과 보수 예산 확보 △주민·운전자 대상 인식 개선 캠페인 △데이터 기반 사고 발생 분석 및 맞춤형 보완이 병행돼야 한다.
정책적으로도 스쿨존 안전은 단일 장비나 제도만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며, 설계(도로·횡단보도), 감시(카메라·비상벨), 집행(단속·경찰 연계), 교육(학생·학부모·운전자) 네 축의 결합이 필요한 종합 과제다.
관련 연구들은 이러한 복합적 접근이 스쿨존 내 사고·중상 감소로 이어진다는 근거를 제공하고 있어, 동구의 시도가 단순 시범을 넘어 지역 안전관리의 모델로 정착하려면 ‘운영력’ 강화가 핵심임을 시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