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화 한 통에서 시작된 안전점검, 현장 드론·3D 영상으로 주민에게 ‘눈으로 확인되는’ 대응 제공
- 주민 신청 증가와 높은 만족도, ‘참여형 안전관리’가 지역 안전망을 튼튼히 한다는 신호
[한국지방정부신문=박상대 기자] 경기도(도지사 김동연)가 확대된 '안전예방핫라인'이 곧 실질적 예방력으로 연결된다는 것을 입증한 가운데 안전점검을 신청한 도민 만족도가 80%로 나타났다.
경기도가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운영한 ‘안전예방 핫라인(010-3990-7722)’을 통해 총 385건의 무료 안전점검을 실시하며, 같은 기간 전년(256건) 대비 약 50% 증가를 기록했고 지난해 연간 실적(384건)을 이미 넘겼다.
이는 도가 핫라인을 통해 도민의 위험 제보를 보다 낮은 문턱에서 받도록 체계를 바꾸고, 점검·컨설팅의 신속성·가시성을 높인 결과로 평가된다.
신청·운영 체계...번호와 누리집, 카카오톡 채널로 ‘언제든지’ 접수
안전예방 핫라인은 전용전화 외에도 누리집(sss.gg.go.kr)과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24시간 연중 신청을 받는다.
이 제도는 기존의 도민안전점검청구제를 확대한 형태로, 이태원 참사 이후인 2022년 11월 김동연 도지사의 지시에 따라 도입되어 도민이 위험을 느끼면 곧바로 점검 요청을 할 수 있게 설계됐다. 핫라인 운영의 전환과 접근성 제고가 신청 증가의 직접적 원인으로 분석된다.
현장사례와 기술적 역량...드론·3D영상·스마트글라스로 ‘보이는’ 점검 제공
올해 접수된 385건 가운데 분야별로는 시설물 관련이 366건으로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생활안전 15건, 재난·기타 4건이었다.
실제 사례로는 고층건축물 옥상에서 콘크리트 낙하물 우려가 접수된 A시의 경우, 도는 드론으로 정밀 촬영한 뒤 이를 3D 영상으로 변환해 주민에게 문제를 눈으로 보여주며 옥상 천장 마감재 및 벽체 부식·탈락 상태를 설명하고 즉각적 안전조치(도로 통제·방지망 설치)를 해당 시에 권고했다.
B시에서는 보강토 옹벽의 과도한 기울기와 균열이 확인되어 하부도로 통제·옹벽 보강을 권고한 사례가 있다.
경기도는 점검에 드론·분석 소프트웨어·스마트글라스 등 첨단장비를 도입해 접근이 어려운 지점의 상태를 신속·정확하게 파악하고, 그 자료를 바탕으로 시군과 협의해 응급조치 및 보수계획을 마련하고 있다.
기술 결합형 ‘참여 안전관리’가 현장 신뢰도 높인다
국내 연구·기술기관들은 드론·AI·3D 모델링·원격영상 장비의 결합이 노후 시설물의 점검 효율성과 진단 정확도를 높인다고 분석해 왔다.
드론과 AI 기반 영상분석으로 균열·박리·노출철근 등 결함을 자동 인식하고, 3D 모델로 시각화하면 점검의 재현성과 추적관리가 가능해진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기술적 진전은 단순보고에 그치던 과거 방식에서 벗어나 ‘데이터에 근거한 권고’로 이어지며, 주민과 행정 사이의 신뢰를 쌓는 데 기여한다는 평가다.
경기도의 사례는 기술과 주민 제보가 결합해 예방적 안전관리로 이어지는 모범적 행정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주민 반응과 정책적 함의...높은 만족도, '참여형 안전체계의 정당성' 뒷받침
안전점검을 신청한 도민 가운데 167명이 응답한 만족도 조사에서 ‘매우 만족’(49%)과 ‘만족’(31%)의 합계가 80%로 집계되었다.
주민이 직접 접수한 제보에 대해 ‘눈으로 확인 가능한 자료’를 제공하고, 응급조치 권고와 사후관리까지 이어지는 점검 시스템이 도민 신뢰를 높였다.
정연석 안전특별점검단장은 “생활 주변에서 위험시설을 발견하면 언제든 안전예방 핫라인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며 도민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정책적으로는 낮은 문턱(핫라인) → 첨단점검(드론·3D·스마트글라스) → 시군 조치 권고 → 사후관리(주기적 점검)로 이어지는 흐름이 안전사고 예방의 실효성을 높이는 설계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