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공성 강화·연계 플랫폼으로 연구·생산·사업화 잇는다...보건복지부 제5차 종합계획(2025–2029)에 대구 핵심사업 대거 반영

- 현장 인프라·인력·창업 전주기 지원으로 2026년까지 스마트팩토리·창업센터 등 신규설비 완공 목표...지역 생태계의 ‘속도’ 올린다

대구광역시 첨단의료복합단지가 제5차 종합계획 반영을 계기로 중앙과 지역이 결을 맞춘 정책적 승부수를 띄우며, 국가계획의 중심에 선 단지로 정책적 집적화를 통해 혁신의 파도를 일으킬 전망이다. (사진=김기문 기자/대구시청)
대구광역시 첨단의료복합단지가 제5차 종합계획 반영을 계기로 중앙과 지역이 결을 맞춘 정책적 승부수를 띄우며, 국가계획의 중심에 선 단지로 정책적 집적화를 통해 혁신의 파도를 일으킬 전망이다. (사진=김기문 기자/대구시청)

[한국지방정부신문=김기문 기자] 대구광역시 첨단의료복합단지가 제5차 종합계획 반영을 계기로 중앙과 지역이 결을 맞춘 정책적 승부수를 띄우며, 국가계획의 중심에 선 단지로 정책적 집적화를 통해 혁신의 파도를 일으킬 전망이다.

대구시의 핵심 과제와 비전이 보건복지부의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2025~2029)’에 대폭 반영되면서 대구첨복단지는 향후 5년간 단지 내부의 연구·창업·제조 역량을 국가적 차원으로 확대하는 전환점에 들어섰다.

이번 종합계획은 5대 전략(산업생태계 강화·기반 R&D 강화·단지 간 연계·인프라 고도화·운영 기반 안정화)과 13대 핵심과제를 제시하며, 단지를 단순한 연구시설의 집합이 아니라 ‘전주기 기능’이 결합된 국가적 바이오헬스 허브로 재정의했다. 

산·학·연·병이 결합된 단지의 집적을 ‘정책적 플랫폼’으로 전환해 전주기 지원체계를 완비하는 것이 관건이다.

국제적인 연구들이 보여준 클러스터의 장점을 활용해, 대구가 단순한 시설 집적을 넘어 지속적으로 혁신을 만들어내는 ‘동북아 바이오·메디컬 허브’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 앞으로의 후속 조치와 실행 성과가 판가름할 것이다.

대구시가 추진해온 BIT융합허브·BIT융합캠퍼스, 초광역 뇌건강 ‘K-AX CARE’ 벨트, 의료기술시험연수원, KOADMEX(국제행사) 개최와 메디밸리 창업지원센터의 창업 인큐베이팅 사업 등 주요 사업들이 제5차 종합계획에 반영됨으로써 지역의 전략적 우선순위가 중앙 정책과 연계됐다.

대구시는 이들 인프라를 통해 기업의 연구개발(R&D)·시제품·인력 양성·사업화로 이어지는 ‘전주기 지원체계’를 완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종합계획에는 단지 기능 강화를 위한 구체적 인프라 로드맵도 포함되어 있다. 대구시는 2026년까지 제약 스마트팩토리와 메디밸리 창업지원센터 등 신규 인프라 구축을 완료하고, 세포특성분석센터·의료기술시험연수원·바이오의약품 생산 전문인력 양성센터 등 핵심 설비·교육시설을 차례로 운영함으로써 실무형 인력과 기업 성장의 ‘현장 기반’을 빠르게 확충할 계획이다.

대구광역시의 핵심 과제와 비전이 보건복지부의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2025~2029)’에 대폭 반영되면서 대구첨복단지는 향후 5년간 단지 내부의 연구·창업·제조 역량을 국가적 차원으로 확대하는 전환점에 들어섰다. (사진=김기문 기자/대구시청)
대구광역시의 핵심 과제와 비전이 보건복지부의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2025~2029)’에 대폭 반영되면서 대구첨복단지는 향후 5년간 단지 내부의 연구·창업·제조 역량을 국가적 차원으로 확대하는 전환점에 들어섰다. (사진=김기문 기자/대구시청)

이같은 일정과 시설 배치는 첨복단지의 R&D→비임상→제조→상용화로 이어지는 ‘원스톱’ 지원 역량을 현실화하려는 조치로 해석된다.

대규모 집적(클러스터)은 기업 간 정보·인력·거래비용의 흐름을 촉진해 혁신 속도를 높이는 것으로 국제 연구들이 일관되게 보여준다.

관련 분석은 클러스터 기반 정책이 지역의 기술확산·신규기업 창업·인재공급 측면에서 실질적 이익을 낼 수 있음을 지적하며, 공공 인프라와 맞춤형 지원이 결합될 때 효과가 극대화된다고 설명한다.

대구첨복단지의 이번 로드맵은 이 같은 이론적 근거 위에서 ‘공공성 강화 + 집적의 경제’라는 두 축을 동시에 겨냥한 것으로 평가된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계획을 통해 첨복단지의 공공적 역할을 강화하고, 공적 CRDMO(위탁연구개발생산기관) 역량을 확충해 국가적 보건안보와 기술 공백 분야를 메우겠다고 강조했다.

최운백 시 미래혁신성장실장은 “종합계획 반영으로 동북아 최고 바이오·메디컬 클러스터로 도약할 기반이 마련됐다”고 강조했다.

이로써 정부와 지방정부가 ‘정책의 틀’과 ‘현장 인프라’를 동시에 밀어붙이려는 의지를 분명히 보여준다. 

종합계획은 ‘비전’을 넘어 구체적 인프라·운영·연계 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다만 정책 효과는 결국 ‘실행력’에서 나온다. 국제 사례와 연구는 클러스터가 성과를 내기 위해선 물적 인프라뿐 아니라 인력유입, 민간투자 유도, 규제·인증 지원, 기업 간 네트워크 활성화 등 복합적 조건이 맞물려야 한다고 지적한다.

따라서 향후 관전 포인트는 제약 스마트팩토리와 창업지원센터 등의 정시 완공 여부, 재단 간 통합과 재원 운영체계의 효율성, 국내외 기업·투자자 유치 실적, 현장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기술서비스의 가시적 성과 등으로 압축된다.

국제 연구는 이들 요소가 동시에 작동할 때 클러스터 정책이 실질적 성장과 일자리 창출로 연결된다고 말한다. 

저작권자 © 한국지방정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