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공·민간 협력으로 만든 공유물류 모델, 소상공인 비용절감·친환경 성과 입증
- 행정안전부·국토교통부 인증 잇달아 받은 ‘시민 체감형’ 정책, 지하철 전 역사 확대로 확장 본격화
[한국지방정부신문=김미숙 기자]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가 ‘생활 현장’에서 출발한 물류혁신이 공적 인정으로 이어지는 결실로, 3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33회 물류의 날 기념식에서 ‘한국물류대상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하며 전국 지방정부 가운데 유일하게 이 상을 받았다.
이번 수상은 인천시가 전국 최초로 도입·확산한 지하철 물류망 기반 ‘천원택배’와 생활물류 현장종사자를 위한 ‘인천생활물류쉼터’ 운영 등 현장 중심의 물류정책이 산업 발전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은 결과다.
비용 절감·매출 증가·탄소 감축...디지털 실증에서 지하철 집결(집화)센터 확장까지
‘천원택배’는 2024년 10월 28일 시범 시행 이후 빠르게 이용을 확대한 끝에, 2025년 9월 말 기준 누적 배송물량 약 88만 건, 가입 업체 약 7,200개를 돌파했다.
인천이 제시한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한 주요 성과는 소상공인 평균 매출 13.9% 증가, 탄소배출량 23.2% 감축 등으로, 현장에서 체감 가능한 경제·환경적 이득이 나타났다는 점이 특징이다.
인천시는 ‘천원택배’의 성과를 단순한 할인형 보조사업으로 보지 않았다. 2022·2023년 국토교통부의 ‘디지털 물류서비스 실증사업’에 2년 연속 선정되어 당일배송 실증과 소상공인 공동물류센터 구축을 추진했고, 이를 바탕으로 지하철역을 생활 물류의 집화 거점으로 활용하는 모델을 설계했다.
인천은 2025년 11월 10일부터 1단계(30개 역사)에서 2단계(60개 역사)로 전면 확대해 더 많은 소상공인이 저렴한 비용으로 택배를 이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현장성 있는 정책’, 물류의 기준 바꾼다...‘확장 가능한 생활물류 모델’ 제시
국토교통부와 한국통합물류협회 등이 주관한 ‘물류의 날’ 행사 자료와 업계 보도는 이번 수상을 물류 분야의 기술·제도 전환과 연계해 평가했다.
행사 개요와 심사 결과를 통해 확인되는 것은, 이번 수상이 단순한 지역 홍보나 단기적 성과가 아니라 공공-민간의 협업 모델, 디지털 실증 기반의 운영 안정성, 현장 종사자 복지(생활물류쉼터)를 아우르는 종합적 기여를 인정받았다는 점이다.
행사 관련 문서와 업계 설명은 이러한 맥락에서 인천의 사례를 ‘확장 가능한 생활물류 모델’로 제시하고 있다.
‘천원’으로 시작된 변화, 지역·산업·정책의 선순환으로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의 이번 수상은 한 도시의 현장형 복지·산업 정책이 어떻게 전국적 모범사례로 자리잡는지를 보여준다.
천원택배는 단가 인하라는 단순한 혜택을 넘어, 공유물류 인프라(지하철역 집화)와 디지털 실증을 연결하고, 택배기사·라이더의 근로환경 개선(생활물류쉼터)까지 결합함으로써 정책의 깊이와 지속가능성을 확보했다.
행정안전부의 적극행정 우수사례·정부혁신 평가 반영, 국토교통부 주관 시상에서의 인정 등은 이 모델이 지방정부 차원의 ‘정책 실험’을 넘어 물류산업의 운영·정책 기준을 바꾸는 보편적 시사점을 가졌음을 뜻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