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전략적 결단과 지방정부·기업의 합작으로 본격화하는 초대형 반도체 생태계 구축
- 팹리스·파운드리·메모리·소부장(소재·부품·장비)·글로벌 장비사까지 연결하는 ‘전(全)밸류체인’ 집적의 경제적·기술적 의미
[한국지방정부신문=김미숙 기자] 경기도(도지사 김동연)가 세계 최대의 ‘K-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는 단순한 산업단지 조성 사업을 넘어서 한국의 반도체 경쟁력을 장기간 지지할 제도적·물리적 인프라 재편의 로드맵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와 관련해 경기도는 설계(팹리스)에서 양산(팹), 연구(R&D), 인재양성, 그리고 소재·부품·장비까지 반도체 산업의 전 주기를 아우르는 ‘메가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한국의 K-반도체 주권을 실질적으로 지켜낼 전략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다.
국내 반도체 산업의 많은 부분(부가가치액 약 84.7%, 매출액 약 76%)이 이미 경기도권에 집중돼 있어, 지역 단위에서의 통합적 관리와 인프라 투자가 국가 경쟁력의 핵심 동력이 된다는 논리다.
경기도는 성남·수원·화성·용인·안성·평택·이천을 잇는 남부 반도체 벨트를 ‘세계 최대 규모’의 메가 클러스터로 연결해 민간투자, 공공인프라,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한데 묶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반도체 생태계의 자생력과 외부 충격에 대한 회복력을 높이려 한다.
해당 프로젝트는 지방정부의 행정 지원(전담 TF 구성), 기업과의 협의, 주민 의견 수렴을 병행하면서 속도를 내고 있다.
이미 승인·착공 단계에 들어간 대형 투자(삼성·SK 등)와 글로벌 장비사의 입주 계획, 그리고 정부의 장기 투자 구상(2047년 완성 목표)은 이 프로젝트가 단기간의 뉴스가 아니라 향후 수십 년간 한국 반도체 산업의 중심축으로 작동할 가능성을 높인다.
객관적 데이터와 정부·기업의 공식 발표를 바탕으로 봤을 때, 경기도 메가 클러스터는 ‘K-반도체 주권’을 현실로 만드는 핵심 무대가 될 전망이다.
핵심 투자, 현실화 단계...대형 팹과 산업단지 승인, 가동 목표 시점 등 구체적 로드맵
메가 클러스터의 구심점으로 지목되는 핵심 프로젝트는 삼성전자의 용인 이동·남사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단지·투자 규모 약 728만㎡, 투자계획 360조 원)와 평택 고덕(약 390만㎡, 120조 원 규모 투자), 그리고 SK하이닉스가 추진 중인 용인 원삼(약 415만㎡, 122조 원 투자) 등이다.
이들 사업은 국토교통부의 산업단지계획 고시 및 지자체·기업 협약을 거쳐 승인·착공·보상 단계로 진입했으며, 삼성은 2030년 말 첫 팹 가동을 목표로, 용인 국가산단의 산업단지 계획 승인 절차를 당초 예상보다 단축해 추진해왔다.
또한 중앙정부 차원에서 발표된 ‘메가 클러스터’ 계획은 2047년까지 대규모 민간투자를 통해 16개 신규 팹을 포함한 초대형 생산·연구 거점을 완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글로벌 장비사·연구센터 유치로 완성되는 ‘글로벌 공급망 내의 전략적 요충지’
경기도 메가 클러스터는 단순히 팹을 모으는 것에 그치지 않고 글로벌 장비사와의 협업을 늘려 소부장(Testbed/테스트베드 포함) 역량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설계됐다.
실제로 ASML(네덜란드)의 극자외선(EUV) 관련 시설과 AMAT(미국), Lam Research(미국), Tokyo Electron(일본) 등 세계적 장비·소재 기업의 R&D·생산·기술센터가 경기도권에 유치되거나 설립 추진 단계에 있다.
이런 집적은 파운드리·메모리·팹리스 간 기술·인력·장비의 ‘근거리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해 혁신의 속도를 높일 잠재력을 갖는다.
더불어 경기도는 팹리스 인력 수요에 맞춘 ‘판교 팹리스 클러스터’(제1·2·3판교 테크노밸리 연계)와 ‘경기도 팹리스 아카데미’, 수원 광교의 ‘경기도 반도체기술센터’(테스트베드·G-SPEC 인력개발센터 등) 같은 사람(인재)·기술·중소기업 지원 인프라를 빠르게 확충하고 있어, 설계·실증·시제품 제작에서 산학연 연계가 가능한 생태계가 구축되는 중이다.
‘규모의 경제’가 주는 기회와 국가 수준의 R&D·인력 전략
국내외 연구기관 및 정책분석가들은 대규모 클러스터가 제공하는 이점(집적으로 인한 비용 절감, 전문 인력의 공급·순환, 소부장 생태계의 활성화)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정책 실행의 품질(전력·수자원·환경 인프라, 지역 수용성 관리)이 성공의 관건이라고 입을 모은다.
경제·정책 연구기관인 PIIE(미국 싱크탱크)는 최근 보고서에서 CHIPS 관련 정책들이 투자 유치를 촉진했다고 진단했고, OECD의 한국 혁신정책 검토는 인재·R&D 역량을 국가적 차원에서 결집하는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러한 외부 평가들은 경기권 메가 클러스터가 단순한 지역 개발을 넘어 국가 산업 전략으로 기능할 잠재력을 가진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한다.
업계 내부의 분석가들 또한 “경기도권에 이미 존재하는 팹·소부장·팹리스의 밀도는 신규 팹 가동 후 후방·전방 산업의 생산 유발 및 고용 파급효과를 극대화할 것”이라는 평가를 내놓고 있으며, 정부·지방정부·기업의 공조가 이어진다면 기술·공급망 자립 측면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