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0만 일자리 조기 달성·2조원 창업펀드·5,500억 소상공인 자금지원...시민 체감형 ‘민생 5대 과제’로 기초 다진다
- ‘피지컬 AI’·로봇·K-바이오·영흥 미래에너지·해상풍력(7GW+) 등 9대 혁신전략으로 산업 구조 고도화
[한국지방정부신문=김기문 기자]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가 '제2경제도시 완성'을 넘어 ‘글로벌 TOP 10’ 진입을 목표로 국제 경쟁력을 위한 전략적 전환으로 공개한 2026년 경제 청사진이 단순한 표어가 아닌 통계와 정책, 지역 역량을 연결한 실천형 로드맵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인천시는 18일 미추홀타워에서 유정복 시장 주재로 ‘제2경제도시 완성 분야 2026년 주요업무보고회’를 열고, 내년도 경제정책 추진 방향과 시민 체감형 계획을 발표했다.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은 “모든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정책을 추진해 달라”고 당부하며, “대한민국 제2경제도시 완성을 위해 한 치의 소홀함 없이 전력을 다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인천시는 최근 발표된 지역소득 통계에서 2023년 지역내총생산(GRDP) 117조 원(특·광역시 기준 상위권)과 실질 경제성장률 4.8%를 근거로 지역 성장 잠재력을 강조하며, 이를 바탕으로 민생 안정과 미래 산업 전환을 동시에 추진할 계획이다.
인천시는 통계상 확인되는 성장 동력 위에 일자리·소상공인·상권·노동복지·농어촌 상생이라는 ‘현장 민생’ 과제와 AI·로봇·바이오·해상풍력·에너지 전환 등 ‘미래 산업’ 과제를 병행함으로써 단기적 체감성과 중장기 경쟁력을 동시에 겨냥한 전략을 내놓았다.
지방정부가 통계·연구기관·산업 생태계와 연계해 구체적 수치와 사업을 제시한 점은 중앙정부의 전략과 결합할 때 더 큰 확장성을 갖는다.
민생 안정과 현장 체감형 지원...‘기초를 다지는 5대 과제’ 전개 방식
이번 보고회에서 제시된 5대 민생 과제는 크게 다섯 축으로 정리된다. (1) ‘기초가 튼튼한 민생 안정'은 민선 8기 목표인 총 60만 개 일자리를 2026년 상반기 중 조기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재확인하고, 인천일자리플랫폼 등 원스톱 구직·구인 인프라를 통해 고용 연결을 가속화한다.
(2) ‘소상공인 지원’은 자금조달 애로 해소를 위해 경영안정자금 5,500억 원 확대와 인천사랑상품권 등 소비 순환 정책을 운영하며, 국비 규모에 따라 전국 최고 수준의 캐시백 정책도 검토 중이다.
(3) ‘지역상권 활력화’는 전통시장 52곳 약 1만 점포에 스마트 전기화재 안전시스템을 설치하고 지하도상가 15개소(3,427개 점포)를 시설관리공단에 위탁해 공공성과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추진한다.
(4) ‘노동복지 강화’는 산업재해 제로를 목표로 안전관리 점검을 강화하고, 근로자복합문화센터와 ‘천원세탁소’ 같은 생활밀착형 복지 확대를 약속했다.
(5) ‘농어촌과 도시의 상생’은 인천농축산물유통공사 설립(내년 상반기 목표)과 삼산농산물도매시장 현대화로 농어촌의 안정적 소득 기반을 확보하고, 캐나다·호주 등지로 지역특산품 수출을 확대해 지역 브랜드 가치를 제고하겠다는 계획이다.
9대 혁신, ‘피지컬 AI’에서 해상풍력·영흥 에너지파크까지...지역 주도형 산업 재편
미래산업국이 제시한 9대 전략은 △피지컬 AI 기반 산업의 대전환 △글로벌 스타트업 허브(2조 원 규모 창업·청년 유니콘 펀드 포함) △로봇 시티 조성(인천로봇랜드 중심) △글로벌 바이오 메가 클러스터 △문화가 녹아든 산업단지 △영흥 미래에너지파크 조성 △해상풍력(옹진군·EEZ 중심, 7GW 이상, IC1 집적화단지 지정 신청 : 2025년 10월 신청, 지정 여부는 정부 심사 중) △지역 특화 R&D 및 과학기술 네트워크 강화(i-connect 등) △기술혁신·기술전환 기업 지원으로 정리된다.
특히 정부의 ‘AI 3대 강국’ 정책 기조와 보조를 맞춰 ‘피지컬 AI’ 생태계를 조성하고 제조업의 디지털·AI 전환을 선도하겠다는 점은 중앙정부의 AI 전략과도 정합성이 높다.
인천시는 스타트업의 스케일업을 위해 2조 원 규모의 펀드 조성과 글로벌 대기업과의 협력을 강조했으며, 로봇 산업은 인천로봇랜드를 기반으로 산업 전반의 로봇 도입을 촉진해 산업 규모를 3조 원대 이상으로 확대하는 목표를 제시했다.
또한 영흥 미래에너지파크는 수소·연료전지·해상풍력·AI 데이터센터를 결합한 탄소중립 모델로 설계되어 지역 일자리와 주민 수익 모델을 병행한다.
정부의 AI 역량 강화 기조과 인천의 전략적 연결은 중앙·지방의 정책시너지가 가능함을 보여준다.
통계와 지역 연구 뒷받침하는 ‘실행형 계획’...지역 전문기관과의 협업
이번 청사진은 통계(지역소득·GRDP 등)와 기존의 중장기 계획(민선 8기 일자리대책·도시 인프라 계획 등)에 기반해 수립되었고, 인천시는 인천테크노파크·인천신용재단·인천연구원 등 지역 전문기관과의 협업을 강조했다.
지역연구기관의 최근 분석은 인천이 제조·수송장비·항만 기반 수출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성장 모멘텀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AI·바이오·로봇 등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연결할 경우 지역 산업구조의 고도화가 가능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인천연구원의 정례 보고서는 수출·제조업 중심의 개선된 경기 흐름과 함께 정책적 지원으로 기술집약형 산업 전환이 촉진될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어, 인천시의 9대 전략은 지역 진단과도 맥을 같이한다.
또한 중앙정부의 AI·바이오 정책(‘AI 3대 강국’ 비전, K-바이오 육성 정책 등)과 보조를 맞추는 점에서 국비 확보와 공모사업 참여를 통해 추가 재원을 확보할 수 있는 실질적 경로도 확보했다는 평가가 가능하다.
전문가들은 이번 청사진의 강점으로 ‘민생 안정과 미래 산업을 병행하는 정책 결합’과 ‘지역 통계 기반의 목표 설정’을 꼽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