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회별신굿탈놀이’ 포함...안동 하회마을, 세계유산ㆍ세계기록유산ㆍ인류무형문화유산 등 3대 유산 분야 모두 보유 ‘세계 유일’
우리나라 세계유산 등재...문화유산 13건, 자연유산 2건, 세계기록유산 16건, 인류무형유산 22건
[한국지방정부신문=정양기 기자] ‘한국의 탈춤’(Talchum, mask dance drama in the Republic of Korea) 18개가 11월 30일 오전(모로코 현지시간) 유네스코(UNESCO)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됐다.
특히, 이번에 ‘한국의 탈춤’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면서 ‘하회별신굿탈놀이’를 전승․보존해온 안동의 하회마을은 세계유산ㆍ세계기록유산ㆍ인류무형문화유산 등 유산 분야의 3대 카테고리를 모두 보유한 역사마을이 됐다. 이는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사례라 의미가 더욱 크다.
윤석열 대통령은 축하 메시지를 통해 “탈춤은 춤, 노래, 그리고 연극을 아우르는 종합예술이자, 평등의 가치를 담고 사회적 문제를 해학적으로 풀어내어 국민으로부터 큰 사랑을 받아온 전통문화”라며 “유네스코에서는 전통문화를 계승하기 위한 우리의 노력이 다른 나라에 모범이 될 만한 우수 등재 사례”라고 찬사를 덧붙였다.
이어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탈춤을 계승하고 있는 전승자 여러분들의 땀과 헌신이 이룬 쾌거”라며 “이번 등재를 통해 세계인들이 대한민국 고유의 전통문화와 정신을 함께 나누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우리의 문화적 품격을 더욱 드높이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모로코(수도 라바트)에서 열리고 있는 제17차 무형유산위원회에서 우리나라가 신청한 ‘한국의 탈춤’을 등재키로 결정한 것이다.
지난 11월 초 무형유산위원회 산하의 평가기구로부터 <등재권고>를 받아 등재가 유력시 됐는데, 이번에 최종 결정됨으로써 우리나라는 22건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한 국가가 됐다.
등재가 결정된 ‘한국의 탈춤’은 양주별산대놀이, 통영오광대, 고성오광대, 강릉관노가면극, 북청사자놀음, 봉산탈춤, 동래야류, 강령탈춤, 수영야류, 송파산대놀이, 은율탈춤, 하회별신굿탈놀이, 가산오광대 등 13개의 국가무형문화재와 속초사자놀이, 퇴계원산대놀이, 진주오광대, 김해오광대, 예천청단놀음 등 5개의 시ㆍ도무형문화재로 구성된 총 18개의 탈춤 종목이다.
‘한국의 탈춤’은 사회의 여러 부조리와 모순을 춤, 노래, 말, 동작 등을 통해 역동적이고 유쾌하게 풍자하면서도 화해의 춤으로 마무리함으로써 크게 하나가 됨을 지향하는 상호 존중의 공동체유산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대표적인 탈춤으로 국가지정 무형문화재인 ‘하회별신굿탈놀이’는 안동 하회마을에서 마을공동체의 안녕과 풍농을 기원하기 위해 12세기 중엽부터 주민들이 행해왔던 탈놀이다. 놀이에 사용되는 탈은 주지탈 등을 포함해 모두 10종 11개이며, 각시의 무동마당·주지마당·백정마당·할미마당·파계승마당·양반과 선비마당·혼례마당·신방마당의 8마당으로 구성돼 있다.
한편, 유네스코 세계유산은 167개국 1,154건으로 문화유산 897건, 자연유산 218건, 복합유산 39건 등이며, 기타 유산으로 세계기록유산 432건, 인류무형유산 498건 등이 등재돼 있다.
우리나라 세계유산 등재는 문화유산 13건과 자연유산 2건 세계기록유산 16건, 인류무형유산 22건 등이다.
유네스코 등재 문화유산 13건은 석굴암․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 창덕궁, 수원화성, 경주역사유적지구, 고인돌유적, 조선왕릉, 한국의 역사마을(하회와 양동), 남한산성, 백제역사유적지구, 산사(한국의 산지승원), 한국의 서원 등이며, 자연유산으로는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한국의 갯벌 등 2건이다.
세계기록유산 16건은 훈민정음, 조선왕조실록, 직지심체요절, 승정원일기, 조선왕조 의궤, 해인사 대장경판 및 제경판, 동의보감, 일성록, 5.18 민주화운동기록물, 난중일기, 새마을운동기록물, 한국의 유교책판(2015), KBS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국채보상운동기록물, 조선통신사기록물 등이다.
인류무형유산은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 판소리, 강릉단오제, 강강술래, 남사당놀이, 영산재, 제주칠머리당영등굿, 처용무, 가곡, 대목장, 매사냥, 줄타기, 택견, 한산모시짜기, 아리랑, 김장문화, 농악, 줄다리기, 제주해녀문화, 씨름, 연등회, 한국의 탈춤 등 22건이 등재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