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국민통합은 결국 공정을 실현하는 것...'정치복지'에서 벗어나야"

윤석열 대통령은 2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민통합 추진전략 및 성과 보고회'를 열었다.(사진=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은 2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민통합 추진전략 및 성과 보고회'를 열었다.(사진=대통령실)

[한국지방정부신문=정양기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21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 김한길 위원장과 민간위원 및 정부위원, 특위위원 등 약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민통합 추진전략 및 성과 보고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국민통합위가 운영해온 '장애인 이동편의 증진 특위'와 '대ㆍ중소기업 상생 특위', '팬덤과 민주주의 특위' 등 3개 특위의 활동성과 보고가 있었다.

이와 관련해 윤 대통령은 "국민통합은 결국 공정을 실현하는 것"이라며 "장애인 이동권 역시 시혜적 복지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 장애인들이 비장애인과 비교해 공정한 기회를 박탈당하지 않고, 공평한 대우를 받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복지를 공정한 기회라는 차원에서 접근해야 내실 있는 복지가 가능하다"며 "정치인이 표를 얻기 위해 국민 세금으로 선심을 쓰는 '정치복지'에서 벗어나 약자가 공정한 기회를 얻도록 공정한 질서를 만들고, 이를 국민이 받아들일 때 진정한 통합이 이뤄진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장애인 이동권 증진과 관련해 관계 부처에 "장애인 혼자 이동하는 기기나 수단뿐 아니라 건물의 엘리베이터나 저상버스 등 장애인 행동의 자유와 관련한 일체의 기기나 수단을 연구하고 생산하는 데 적극적으로 투자를 해달라"고 주문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이것을 비용 지출로 생각하지 말고, 많은 기업이 장애인 이동편의 증진과 관련해 지원을 받고 수익을 창출하는 새로운 시장을 만든다는 생각으로 접근해 달라"며 "장애인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는 시장이 만들어질 때 정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또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 역시 대기업이 약자인 중소기업에 시혜를 베푸는 게 아니라 공정한 생태계를 만드는 게 진정한 상생"이라며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노동, 교육, 연금, 건강보험 등 모든 분야에서 개혁의 방향은 바로 공정성의 확립"이라고 강조했다.

21일 대통령실 공식간담회를 마친 동서포럼 각 지역 대표자들 40여 명이 용산 대통령실 광장 포토존에서 강승규 시민사회수석(사진 중앙), 김대남 시민소통비서관 등 대통령비서실 관계자들과 함께 단체사진을 찍고 있다(사진제공=대통령비서실)
21일 대통령실 공식간담회를 마친 동서포럼 각 지역 대표자들 40여 명이 용산 대통령실 광장 포토존에서 강승규 시민사회수석(사진 중앙), 김대남 시민소통비서관 등 대통령비서실 관계자들과 함께 단체사진을 찍고 있다(사진제공=대통령비서실)

강승규 시민사회수석 “‘東西포럼’이 윤석열 정부의 성공적 국정운영의 중요한 동반자 되어달라”

한편, 같은 날 용산 대통령실에서는 동서화합을 위한 공식 간담회 행사도 열렸다. 이 자리에는 지난 대선 당시 중앙선대위 3대 조직의 하나였던 동서화합미래위원회와 20대대통령취임준비위원회(위원장 박주선)에 참여했던 핵심 멤버들과 영남과 호남의 교수, 기업인, 언론인, 공직자 등 참신한 유력 인사들이 동참해 새로 출범한 ‘東西포럼’(대구상임대표 오창균, 광주상임대표 이병택)의 각 지역 대표자와 임원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대통령비서실 강승규 시민사회수석, 김대남 시민소통비서관, 신진욱 국장이 참석해 오후 2시부터 1시간 30여 분간 대통령실 회의실에서 진행된 이 날 간담회에서 동서화합을 통한 국민통합 방안을 비롯해 정치, 경제, 교육, 복지, 소통 등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되었고 김대남 비서관은 이를 국정운영에 참고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東西포럼’이 대구, 광주, 서울에서 분기별로 개최할 계획이라는 보고에 대해 강승규 수석은 “포럼에서 도출된 논의 결과를 정기적으로 보고해주면 국정운영에 적극 반영해 나가겠다”고 밝히고 “‘東西포럼’이 윤석열 정부의 성공적인 국정운영의 중요한 동반자가 되어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한국지방정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